1943년 7월 15일 목동서 첫 방송전파 발사
일본어 위주 방송에서 한국어 이중방송으로
6.25때는 서울 대신 대전서 중앙방송 역할
1964년 문화방송 민영라디오 개막 다매체화
1959년 KBS대전방송국 전경. 대전 중구 목동에 안테나가 보인다. (사진=충남도역사박물관 제공) |
1959년 대전방송국에서 직원들이 원고를 작성하고 있다. 테이블 원고표지에 '로컬뉴스철'이라고 쓰여 있다. (사진=충남도역사박물관 제공) |
▲전쟁 중에 중앙방송국=1950년 6월 25일 전쟁이 발발하고 나흘 뒤인 6월 29일부터 대전방송국은 서울을 대신해 중앙방송국 역할을 18일간 수행했다. 'KBS대전방송총국 60년사'에 따르면 서울에서 피난 온 중앙방송국 직원들이 대전방송국에 주재하며 서울에서 북한인민군이 쏘아대는 50kW 출력의 전파에 맞서 50W를 가지고 전황을 전하는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비밀리에 대전으로 피난온 이승만 대통령이 자신은 서울을 사수할 것처럼 위장한 허위방송이 당시 충남도지사 관사에서 대전방송국의 중계를 통해 서울 중앙방송에서 생방송으로 전파 쏘아졌다. 1950년 7월 15일 아침방송까지 마치고 직원들이 오전 9시 30분께 철수하면서 대전방송국은 한동안 공백기를 보낸다. 방송이 재개된 것은 1951년 2월 150W에서 시작해 적이 침략한 남한 방송국 중에서 가장 먼저 500W 출력으로 복구했다. 정부와 중앙방송국이 부산에 있는 상황에서 서울의 송신소가 불시에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황이 오면 대전 송신소가 키 스케이션이 될 수 있도록 가장 빠르게 출력 증강공사를 단행한 것이다. 이어 당시 문갑동 충남미유㈜ 대표 등 대전방송국 후원회와 UN군사령부 지원에 힘입어 같은 해 11월 10㎾출력시설을 완성했다. 이때 10㎾출력시설 준공식은 충남도청 의사당에서 개최될 정도로 의미가 있었는데, 대전방송국 아나운서 1호 천홍범 씨가 소장한 중도일보 1952년 11월 10일자에 '자유의 소리 HLKI대전방송국 10킬로와트 전력확충 시설 준공식 성대'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면 "시설투자에 들어간 예산이 11억8711만원(圓)이었고, 이날 증강사업에 큰 도움을 준 미육군 보리스 중령과 성낙서 도지사에게 공로장을 전달했다"라고 기록했다. 또 같은 날자 중도일보 보도에서 출력증강 특별프로그램을 소개했는데, 저녁 ▲5:00 저녁음악 ▲5:15 방송예고와 음악 ▲5:30 항공병학교장 공군대령 김성태 기념사 ▲5:40 고아의 시간 ▲6:00 뉴스(중앙) ▲6:30 노래와 경음악 ▲7:00 합창과 독창(YWCA) ▲7:30 미국의소리 중계 ▲8:00 뉴스(중앙) ▲8:30 충남경찰국 취주악 ▲9:00 UN의 시간이다. 대부분 서울 중앙방송을 중계한 것이고, 로컬방송 시간에는 기관장의 공지사항을 전달한 것을 알 수 있다. 김석모 대전방송국장은 앞서 중도일보 기고를 통해 "1958년 7월 23일 30분간 서울과 대전을 잇는 2만m 방송에서 처음 보는 발전을 입증했던 것"이라고 기록했다.
1964년 9월 대전문화방송(MBC) 개국 소식을 전한 지면보도. |
▲민영방송시대 개막=대전문화방송은 대전 첫 민영방송이라는 기대 속에 1964년 9월 26일 호출부호 HLCQ 주파수 580㎑, 출력 1㎾로 중구 대흥동 495번지에서 개국했다. 지금의 중부경찰서 옆 대전신용보증재단 자리에 있던 옛 대한생명 4층 사옥 중 3~4층에 자리했다. 다만, 전파를 쏘는 송신소는 가장동 10-1번지에 124m 3각 철탑을 세워 전파를 발신함으로써 대전에 민영방송시대를 열었다. 당시 대전시 인구는 30만 명, 라디오 수상기는 1만5770대에 불과했다. 1964년 9월 중도일보 보도에 따르면 "가청구역은 대전시내를 중심으로 50㎞ 반경으로 조치원, 청주, 공주, 영동, 보은, 금산방면에 달한다"라며 "방송국원은 아나운서 4명, 기자 2명 등 25명이나 된다"라고 소개했다. 1965년 1월 당시 대전MBC 이영희 국장의 인터뷰에서 "눈을 지긋이 감고 있어도 청각을 통해 자극해오는 싸이클이라는 요물에 현대인들은 부쩍 구미를 돋우기 시작했다"라고 라디오를 정의한 낯선 표현이 눈길을 끈다.
당시 민영방송 개국에 거는 기대는 1964년 9월 27일 사설에 이렇게 기록돼 있다. "이제까지 국영방송만이 시민의 반려가 되었음에 대하여 이제 민영방송의 첫 케이스로서 지방의 특색을 살리고 풍속을 순화하는데 크게 이바지할 것을 믿어마지 않는다"라고. '대전문화방송 30년사'는 개국 당시 시민들이 보인 호응에 대해 "행정관서의 비리나 사회 각 분야의 모순을 적나라하게 지적, 시정을 촉구하는 투철한 감시기능을 수행했다"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이때 대전MBC 전파는 인접국인 중국방송에서 580㎑ 동일 주파수로 혼선을 일으켜 야간에는 청취범위가 대폭 축소됐는데 개국 10개월만에 주파수 580㎑에서 1110㎑로 변경했고, 산악지형에 맞지 않아 1971년 5월 이보다 낮은 760㎑로 바꿔 방송했다. 1967년 7월 10㎾ 출력증강을 계기로 대전시 일원에 불과했던 방송구역을 논산, 부여, 공주, 연기까지 확대할 수 있었다. 1964년 10월 14일자 중도일보 보도를 보면, "라디오 청취혜택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라며 "라디오를 소유하지 못한 많은 국민이 있는가하면, 라디오를 가지고도 방송을 듣지 못하는 지역도 있다"라며 누구도 전파의 혜택에서 소외되서는 안 된다라고 당부했다. 라디오가 없는 마을에는 스피커를 설치해 방송을 틀어줬는데 이러한 유선방송사업이 성행하고 있다는 소식도 이맘때 지면에 여러차례 등장한다.
▲TV&다매체 시대로=TV방송 시대는 1966년 식장산에 중계소가 설치되면서 그해 5월 16일 저녁 정규방송을 시작으로 대전KBS TV전파가 발사됐다. 5월 18일자 중도일보 지면에는 대전에 처음 TV방송전파가 쏘아진 날의 풍경이 다소 익살스럽게 묘사됐다. "텔레비전을 이용해 손님을 끌려는 다방 등의 접객업소에서는 성급하게 설비를 갖췄으나 공짜로 들어와 화면만 바라보고 있는 얌체 손님때문에 오히려 울상이 되었다"고 전하고, "안테나 조작법이며 기타 스위치 사용법을 중계소에 물어오는 등 가벼운 소동도 있었다"고도 전했다. 대전MBC도 1971년 1월 텔레비전방송 허가를 받아 정동 일락빌딩에 연주소를 두고 옥상에 안테나를 세움으로써 그해 4월 24일 호출부호 HLKZ 영상출력 2㎾, 음성출력 500W로 충청권 전역을 대상으로 TV전파를 발신했다.
사건사고를 같은 시간대에 여러 지역으로 전파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당시 TV는 최첨단으로 여겨졌고, 보통 서울소식은 구전이나 신문지면을 통해 이틀 뒤에나 대전에 전해졌다는 점에서 방송은 대전시민을 놀라게하기에 충분했다. 1987년 6.29선언의 영향으로 민영방송 설립을 가능케하는 새 방송법이 제정되고 1994년 대전 TJB방송을 비롯해 4개 지역민방이 허가돼 1995년 5월 14일 동구 효동 122-1번지에서 개국했다. 호출부호 HLDF-TV, 주파수 521㎒, 영상출력 10㎾ 규모였다. 꾸준히 성장해 1998년 3월 주파수 95.7㎒, 출력 5㎾의 TJB POWER FM을 개국, TV와 라디오 방송을 겸업하는 종합전파 매체로 자리를 잡았다. 대전극동방송은 1989년 12월 주파수 FM 93.3㎒, 호출부호 HLAD, 출력 3㎾ 규모로 첫 지역전파를 발신하고, 기독교대전방송도 같은해 12월 호출부호 HLDX, 주파수 91.7㎒, 출력5㎾으로 방송을 시작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