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침은 살상, 약탈, 파괴 등의 만행으로 이어진다. 대한민국이 오늘날까지도 남북으로 분단된 통한의 아픔 역시 일제의 침략에서 기인한다. 따라서 앞으론 그 어떤 세력으로부터도 침략을 당해선 안 된다.
개인도 약하면 남이 깔보듯 한 나라의 국방 또한 힘이 없으면 금세 주변 국가들의 놀잇감과 침략의 빌미까지 안긴다. 그러자면 평소 국방력 제고와 함께 강한 군대의 양성은 기본 중의 기본이다.
하지만 작금의 형세를 보면 이런 국민적 기본 인식에 반하는 기류가 모락모락하여 크게 유감이다. 북한의 2인자인 김여정이 또 한마디 하니까 한미 연합 훈련을 취소하려는 분위기 때문이다.
국가정보원장까지 국회에 나와 "남북 간 통신 연락선 복원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요청이었고 이는 관계 개선 의지"라며 "한미 연합 훈련 중요성을 이해하지만, 대화 모멘텀을 이어가고 북한 비핵화의 큰 그림을 위해서는 한미 연합 훈련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사실상 중차대한 한미 연합 훈련을 반대한 것이다. 그러자 일부 여당 의원과 야당 의원들까지 "대한민국 안보를 책임지는 국정원이 김여정의 하명 기관으로 전락했다"고 맹공을 퍼부었다. 틀린 말이 아니다.
도대체 김여정이 뭐길래 그녀가 한 마디만 던지면 오금을 못 펴고 쩔쩔매는 것인가. 이런 비굴과 굴종의 정부 행태를 보는 국민은 가뜩이나 더운 날씨에 견딜 수 없는 모독과 짜증까지 유발된다.
우리가 아무리 남북대화 재개와 이산가족 상봉, 금강산 여행, 개성공단 재가동 등의 선물 보따리를 다시 잔뜩 푼다손 쳐도 북은 핵무장 협박과 이를 발판으로 한 한반도 적화통일 야욕을 절대로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공산주의는 쉬이 사회주의와 동격으로 본다. 사회주의(社會主義)는 자본주의의 노동임금 착취와 그에 따른 경제적 불평등 등에 반발하여 생산수단의 공동소유와 관리, 계획적인 생산과 평등한 분배를 주장하는 이론 또는 사상을 말한다.
이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나타난 여러 사회적 모순과 병폐의 원인을 개인주의로 보고, 사적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사적 소유 및 자유경쟁을 반대하였다. 한편, 공산주의(共産主義)는 사회주의와 비슷한 개념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차이점이 있다.
사회주의가 개인주의에 바탕을 둔 생산수단의 개인 소유를 부정하고 생산의 사회화를 통해 자본주의의 모순을 해결하려고 한 데 비하여, 공산주의는 생산의 사회화 또한 공산주의로 가는 한 수단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공산주의는 생산의 사회화뿐만 아니라 분배에 있어서도 공평을 요구하는 걸 원칙으로 하며, 사유재산제도를 전면으로 부정하고 공유재산제를 실시함으로써 빈부의 격차를 완전히 없애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공산주의가 결국 실패하는 원인은 빈부 격차를 완전히 없애기는커녕 빈곤의 심화만 가중시키는 때문이다. 선택받은 사람들만의 도시가 '평양'이라는 것은 삼척동자도 안다.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이 했던 말이 떠오른다. "북한이 도발하면 '대응 사격을 할까요?'라는 등의 보고는 필요 없다. 지휘관에 물어볼 것도 없이 자동으로 응사하라. 적이 항복할 때까지 몇십 배로 보복 응징하라."
안보 없는 국가는 존립할 수 없다. 극심한 배고픔보다 견딜 수 없는 건 전쟁에서 패배하여 노예가 된 국민의 처절한 수치심이다. 그런 몰락의 처지가 안 되려면 정부가 국방력 강화와 더불어 국민적 자존심까지 회복시키는 게 기본이다.
홍경석 / 작가·'초경서반' 저자
![]() |
* 홍경석 작가의 칼럼 '홍키호테 世窓密視(세창밀시)'를 매주 중도일보 인터넷판에 연재한다. '世窓密視(세창밀시)'는 '세상을 세밀하게 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