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다로운 입지 조건을 맞춰야 하고, 토지 매입 비용이 들지 않는 시유지와 국유지에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헬기 소음에 따른 민원도 감안해야 하기 때문이다.
전국에서 소방헬기를 임차해 사용하는 곳은 대전시 소방본부가 유일하다. 현재 헬리코리아 소속의 민간헬기와 조종사, 정비사를 파견받아 월 1억2000만 원의 임차비를 내고 있다.
소방본부의 전용 헬기 구입과 헬기장 조성은 소방서비스 확보 차원에서 숙원이었다. 조종사와 정비사, 구조대원 등 최대 5~6명이 한 팀으로 움직여야 하는 소방항공대 원칙상 소방본부-민간이 결합한 방식은 소통 차원에서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지난 6월 발생한 수상구조 훈련 사고 후 소방본부 소속의 전용 헬기를 구입하라는 주장도 결국은 업무 비효율을 지적했다고 볼 수 있다.
헬기 구입은 문제없다. 소방청 지원으로 230억 원의 구입비는 확정돼 있고, 20인까지 탑승 가능한 중형 모델을 사는 게 목표다. 전용 헬기 구입 후에는 숙제도 있다. 조종사와 정비사를 소방본부 인력으로 편제해야 하고, 헬기 운용과 정비, 수리 등 막대한 예산 투입이 필요하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소방본부 소속 119특수구조단에 따르면 유력 후보지 윤곽 나왔다. 다만 용역 진행 중이고 최종 부지를 선정할 심사위원회가 열리지 않아 공개하지 않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헬기 이착륙 시 발생하는 소음을 우려해 해당 지역주민들이 반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헬기장 부지 규정은 까다롭다. 이착륙이 가능한 일정 고도가 필요하고, 이착륙 시 전후 2㎞ 이내에 장애물도 없어야 한다. 민가와는 일정 거리가 떨어져야 하고, 계류장은 최소 3000평이 확보돼야 한다.
그러나 도심권이 중앙에 있고, 외곽에는 산림이 형성돼 있는 대전시는 지형상 부지 찾기도 만만치 않다. 고도를 고려해 산으로 부지를 선정하면 환경영향평가나 그린벨트 해제 등 어려운 행정절차가 필요하고, 산림 훼손에 대한 우려도 피할 수 없어 최적의 부지는 아니다. 민가가 드문 곳은 대부분 사유지라서 토지 매입 비용이 추가로 필요해 이 또한 선택권에서 벗어나 있다.
대전소방본부 119특수구조단 관계자는 "현재 항공안전법상 헬기장 부지 적합 평가 중이고, 9월 종료하는 용역 결과에 따라 3개의 부지로 압축할 것 같다"며 "국유지면서 장애물제한표면에도 걸리지 않는 일정 부지가 있다. 다만 최대 과제는 소음에 대한 지역주민 이해와 협의 과정이 될 것 같다"고 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