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송서비스·고급화로 승부수… 아파트촌 주민들과 공생하며 동고동락
젊은상인, 깨끗한 시장환경으로 먹거리 골목 생겨… 코로나19로 직격타
대전 서구 가장동에 위치한 한민시장은 아파트촌 사이에 있는 도심형 골목시장이다. 젊은 상인들, 배송 서비스 등 일찌감치 젊은 소비자들을 공략해 아파트촌과 함께 공존하는 도심형 시장으로 자리 잡았다. /이유나 기자 |
(*해당 기사는 동영상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아파트에 시장이 있다고 하면 보통 아파트 내에서 일주일에 한 번 열리는 '수요장터', '금요장터'와 같은 요일장터를 떠올리기 쉽다.
대형마트와 온라인 쇼핑이 대세를 이루면서 전통시장이 하나둘 사라져 가는 요즘, 대형 아파트 사이에서 제2의 전성기를 누리는 시장이 있다.
대전 서구 괴정동 맑은 아침 아파트와 래미안 아파트 사이에 자리 잡은 '한민시장'은 가까운 거리에 기업형 슈퍼마켓을 두고도 경쟁력을 갖춘 시장으로 꼽힌다.
실제로 인근 아파트 주민들은 코로나 19전 만 해도 저녁 장을 보고 약속을 잡았다.
전통시장은 지저분할 것이라는 편견은 높은 아케이드와 깔끔하고 아기자기한 조명들로 단숨에 깨진다. 상점에서 마주하는 상인들 역시 젊다.
한민시장은 아기자기한 조명을 설치하는 등 아늑한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이유나 기자 |
▲장보기 배송, 고급화로 승부수=한민시장은 일자로 된 작은 시장인데 먹거리, 농산물, 잡화, 심지어 휴대폰 대리점도 있어 입구에서부터 쭉 직진하며 둘러보는 재미가 있다.
직진만 하면 되기 때문에 길을 잃어버릴 위험도 없다.
맑은아침 아파트 맞은편 입구로 들어가 앞으로 걷다 보면 그 유명한 막창 골목도 보인다.
한민시장 주변에는 대단지 아파트와 인근에 주택가가 밀집돼 있는데 만 명 정도의 주민이 산다.
1970년대 말 자연스럽게 형성돼 지난 1981년도에 정식 개장한 한민시장은 도심의 전통시장들이 하나둘씩 사라지고 쇠퇴해 가는 사이 오히려 관광형 시장, 21세기 전통 시장 모델로 꼽히며 승승장구하고 있다. 실제로 2016년에는 대한민국 우수전통 시장, 2017년도에는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선정됐고 2019년에는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을 받았다.
한민시장이 이렇게 아파트단지 내에서 전통시장으로서 자리매김한 것은 시대를 읽는 발 빠른 대응과 고급화 전략 때문이다.
김종천 한민시장 상인회장은 "조명을 달고 시설을 정비하는 등 활기찬 분위기를 조성하려고 노력했다"며 "코로나를 대비하기 위해 네이버 장보기 배송 서비스도 하고 있다"고 답했다. 김 회장 역시 서른한 살에 한민시장에 들어왔고 37세에 상인회장의 당선된 젊은 상인이다.
한민시장은 보고 맛보고 즐길 수 있는 시장이다./이유나 기자 |
여기에 한민시장은 일찌감치 고급화를 추진해 주민들로부터 신뢰를 얻었다. 상인들은 아침 일찍 도매 시장에 가서 '상'급에 해당하는 상품을 가져온다. 한민시장 상인들은 새벽 5시에 일어나 도매시장에서 물건을 가져오고 저녁 8시에 퇴근한다. 식료품과 재료 위주의 시장이었지만 인근에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자연스럽게 먹자골목도 조성됐다. 고로케나 도넛은 물론 떡볶이와 부침개가 인기다. 유명한 막창골목도 조성됐다.
한민시장에서 건어물 가게를 운영하는 김천수씨./이유나 기자 |
한민시장 막창골목에 임대 문구가 붙여져 있다. /이유나 기자 |
서구 괴정동 맑은 아침 아파트 맞은편의 한민시장 입구. 주변 아파트 주민들이 한민시장을 즐겨 찾는다./이유나 기자
한민시장에서 건어물을 파는 김천수 씨는 "코로나 이전에도 불황이었는데 코로나 이후 매출이 그보다 절반 이상 줄었다"고 토로했다. 이어 "정부의 거리두기 대상 업종에 전통시장이 포함돼있지 않아 지원금을 적게 받는다"며 "이 상황이 6개월 이상 간다면 장사를 접을 판이다"고 말했다. 이유나 기자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