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영 경제사회교육부 기자 |
코로나 백신 접종으로 인한 일상 생활복귀에 기대감도 잠시 '4차 대유행'으로 되려 모든 일상이 멈춰 버렸다.
접종을 통해 코로나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기대감 속 희망을 봤고, 일상으로 돌아간다는 생각에 코로나를 잠시 잊었던 게 사실이다.
대전에서는 태권도장에서 시작된 코로나 19 감염자가 170여 명에 달하고 있다.
유치부와 초등학생 수련생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태권도장에서 발생한 코로나 확진은 어느 때보다 더욱 우려감이 컸다. 실제 대부분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추가 감염이 이뤄지면서 대전 전체 어린이집이 휴원에 들어갔고, 학원들도 휴원 권고가 내려지기도 했다.
문제는 이후 이뤄진 방역 체계와 조치다.
학생들이 다니는 태권도장, 그러나 학원이 아닌 체육시설이라는 이유로 지자체와 교육 당국 간 방역 책임과 지휘 체계를 놓고 혼란이 빚어졌다. 태권도장은 학생 중심의 체육시설인데도 불구하고, 교육시설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방역에서 벗어나 있다. 태권도장이 학생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곳인데도 학원이 아닌 체육시설이라는 이유로 학원 중심의 방역과 다르기 때문이다. 사실상 교육청이 아닌 지자체가 관할이라는 점에서 방역 체계 또한 판단이 다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코로나 19 감염 소관 불분명 문제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1월 IM 선교회에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100여 명이 넘는 확진자가 나온 바 있다. 당시 해당 시설은 종교단체서 설립한 미인가 시설로 이 시설에 대한 지도·감독은 지방자치단체 소관 업무라는 입장을 교육청이 밝혔지만, 학원으로 운영되고 있어 '방역 사각지대'가 드러났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처럼 관할 기관의 역할과 방역을 두고 책임 떠넘기기로 비춰지고 있다.
2학기 전면 등교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학생 중심의 체육시설 그리고 학생들의 생활을 중심으로 한 관리에 있어서는 체계적이고 일원화 된 방역 관리가 필요하다. 학원, 실내체육 시설 등 방역 사각지대로 꼽히는 곳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을 하기 위해서라도 시-교육청-현장으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즉 책임 소재를 떠나 업무 효율성을 위해서라도 일원화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코로나 19 사태 속에서 현재 최대의 고비를 맞고 있다. 모두의 노력이 필요한 것은 너무나도 당연하다.
니탓 네탓을 따지기 앞서 보다 책임감있는 모습을 보여줘야 할 때다. 박수영 경제사회교육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