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7기 임기가 1년 여 남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메가시티 구축 명분을 잃지 않고 지속 가능한 통합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서는 명확한 비전과 전략을 제시해야 할 시점이기 때문이다.
충청권 4개 시·도는 올해 4월 메가시티 공동용역에 착수했다. 당시 시급한 현안 과제였던 충청권 광역철도와 행정통합에 초점을 맞췄고, 주요 아젠다와 분야별 발전 전략을 기반으로 실행 계획을 세우는 것이 골자였다.
수도권·부울경·대구·경북과 경쟁할 수 있는 상생협력망 구축은 협력사업부터 시작해 최종 광역생활권 통합까지 나아가는 충청의 미래비전의 방향성을 찾는 대업을 위한 과정인 셈이다.
대전세종연구원이 착수보고회 당시 발표한 핵심 전략은 경제권 중심성, 생활권 연결성, 문화권 정체성이다. 산업경제, 교통, 공간, 환경 인프라, 사회문화를 기반으로 연대와 협력, 단·중·장기 전략으로 추진해 충청권 메가시티의 최종 모델을 찾겠다는 계획이었다.
대전시에 따르면 23일 열리는 용역 중간보고회에서는 4월 착수보고회에서 제시했던 아젠다와 분야별 전략의 세부 과제 일부를 보완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용역을 최종 11월까지 진행한다는 점에서 최종 과제가 아닌 확장성을 염두에 둔 협의 단계를 위한 제안으로 볼 수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세부 보완된 전략은 4개 시·도가 큰 틀에서 협의할 부분들을 구체화하는 것으로 몇몇 전략들이 초기보다는 구체화 됐다"고 설명했다.
충청권의 공조는 지역 현안 과제를 푸는 핵심 키다. 제4차 국가철도망 노선 반영과 세계하계대학경기대회 유치 신청도시 확정 등 단일 도시로는 불가능했던 과제들이 풀리고 있는 것도 이 덕분이다. K-바이오 랩허브 유치는 실패했지만, 향후 국가공모사업에서 4개 시·도의 경쟁력과 합치된 명분으로 공동 추진한다면 메가시티의 초석을 다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변수는 내년 지방선거다. 민선 7기는 4개 시·도 기관장 모두가 더불어민주당 소속이라는 공통점과 지방소멸 시대를 대비한다는 비전이 융합한 케이스다. 그러나 지선에서 당과 비전이 다른 기관장들이 모일 경우 그동안 진행했던 메가시티 청사진의 지속 여부를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인구 유출과 지역 소멸이라는 위기의식은 충청권 모두에게 해당한다. 메가시티 구축을 위한 협력은 지속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