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최초 기획한 대형사업이면서 국내·외에서 이미 바이오 생태계 최적지로 평가받았음에도 대전 유치 실패는 '보이지 않는 손'의 개입이 있었다는 이유에서다.
랩허브 유치 초창기부터 대전과 인천은 유력한 후보지였다. 대전은 500여 개의 바이오 창업기업이 자생적으로 형성된 생태계를 최대 강점으로 내세웠고, 인천은 반대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등 대기업을 앞세운 전략이었다.
그럼에도 대전이 희망적으로 바라봤던 것은 스타트업에서 출발해 연구와 임상, 투자 등 일련의 과정을 통합했을 때 국내·외를 선도할 수 있는 굴지의 기업을 키워낼 수 있다는 '성장'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다. 미국 보스턴 랩센트럴 또한 육성이 핵심이라는 점에서 대전은 보스턴과 가장 가까운 닮았다는 점을 최대 핵심 포인트로 삼았다.
중소벤처기업부는 후보지 공고문을 통해 지원 대상에 치료제와 백신 등 신약 개발 창업기업을 언급했다. 궁극적으로 신약개발이라는 취지는 공감하지만, 기업 육성을 통한 성장보다는 결과론에 집중한 모습이다. 이는 삼성바이오와 셀트리온처럼 대기업이 합류한 인천에 더욱 플러스 요소가 될 수밖에 없었다는 얘기다.
정방형 부지를 요구한 대목도 인천을 염두에 둔 조건이었다는 주장이다. 중기부는 신청요건으로 최소 3만㎡ 이상의 건축 부지 제공과 부지의 단절 없이 가급적 정방형에 가까운 형태를 권장한다고 명시했다.
대전은 확장성을 고려해 해당 조건보다 넓은 약 5만7000㎡의 부지를 확보했다. 온전한 정방형 형태는 아니지만, 5~6개 시설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의 넓은 부지였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을 것으로 보지 않았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공개된 인천시의 부지는 개발 예정지로, 중기부가 제안한 정방형의 형태에 가까웠다.
대전시 관계자는 "랩허브는 스타트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이 핵심이다. 취지는 창업기업에 방점이 찍혀야 했다. 그러나 중기부의 신약 개발을 강조한 부분과 정방향 부지를 콕 짚은 대목은 국가공모사업으로 전환하면서 인천으로 확정한 뒤 그림을 그렸다는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정방형이어야 하는 이유는 없다. 합리적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전을 패싱하기 위해서라도 세밀한 심사 조건들이 필요했을 것"이라며 "최초 기획자인 대전이 수도권 유치를 위해 들러리가 된 셈"이라고 비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