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역세권지구 위치도. |
민선 7기 또 하나의 성과는 '혁신도시'지정이다. 혁신도시는 그동안 신도시 개발위주로 지정됐다. 대전을 비롯해 충청권은 번번이 대상에서 제외됐고 공공기관 이전과 지역인재 채용 등에서 심각한 역차별을 받아왔다.
민선 7기가 시작되면서 대전시와 5개 지자체는 가장 먼저 혁신도시 지정을 위해 뜻을 모았다. 행정 기관장들이 우선 손을 잡았고, 정치권의 공조를 기반으로 충남, 세종과 연계해 광역권 차원에서 정부에 입장을 전달하겠다는 의지였다.
혁신도시는 수도권에 밀집해 있는 공공기관 이전이 핵심이다. 공공기관이 내려올 경우 일자리 증가는 물론 경제가 살아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대전처럼 성장동력이 멈춰진 현 단계에 필요한 정책이다. 수 십 년 동안 혁신도시 지정에서 배제되지 않았다면 대전의 현재 모습은 지금과는 확연히 다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안타까운 숙원 사업으로 꼽혔다.
이후 시민들까지 혁신도시 지정에 목소리를 보탰고, 범시민 추진위가 출범하면서 지역의 역량이 모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안이 2019년 11월 산자부 중소벤처기업위원회 법안 소위를 통과하며 기대감을 높였다. 혁시도시는 그렇게 해를 넘겨 2020년 2월 국회 산자위, 3월 국회 법사위와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최종적으로 대전과 충남이 혁신도시로 지정 받게 됐고 향후 혁신도시 시즌 2를 통해서 공공기업 이전이 이뤄질 수 있게 됐다.
대전시는 당시 전국 최초 원도심을 활성화하는 새로운 혁신도시 모델을 제시했다. 또 혁신도시 지정의 입법적 해결을 위해 혁신도시법 대신 국가균형발전특별법으로 방향을 선회했던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연축지구 위치도. |
혁신도시는 대전역세권지구와 연축지구 두 곳이 대상이 됐다. 대전시는 각 실국에서 대전에 내려올 가능성이 큰 기업들을 직접 맨투맨으로 스킨십 중으로 대전 발전에 유리한 기업 유치를 위해 물밑작업 중이다.
혁신도시를 통해 공공기관이 대전에 유치되면 지역인재 채용이 더 큰 규모로 가능해진다는 점이다. 2020년에는 충청권 51개 공공기관에서 지역 인재 409명을 채용했다. 향후 공공기관 수에 따라 채용 퍼센트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원도심의 명운이 걸린 대표적 성과로 꼽을 수 있다. 이해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