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대덕구 문평동에 위치한 옛 대덕경찰서 모습. |
해당 부지와 건물은 기획재정부 자산으로 국유재산을 지자체 차원에서 활용하는 가운데 국비 확보가 이뤄져야 성공사례가 될 수 있다.
대전시는 장기 과제로 스타트업 협업 공간 등을 계획하고 있으나 국유재산 건물 구조를 변경할 수 없다는 한계에 건물 매입까지 고려하고 있는데, 매입비만300억 원에 달해 국비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1일 대전시와 캠코 대전충남지역본부에 따르면, 이날 두 기관은 로봇·드론 지원센터' 조성계획에 협력하기로 하고, 산단 내에 약 1만㎡ 규모의 옛 대덕경찰서 부지 제공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기간은 오늘부터 향후 5년 동안이다.
해당 부지는 2018년 대덕경찰서가 대덕구 법동 옛 동부경찰서 빈 건물을 리모델링해 이전하면서 공실이 됐다. 이후 2019년 건물, 부지 등은 국가 소유였기에 기획재정부로 반납했다. 기재부로 넘어간 후 2년이 넘도록 활용 방안 등이 없어 방치된 채 있었다. 실제로 애초 임대료는 6억 원이 넘어갔으나, 활용하고자 하는 주체가 나오지 않으면서 유찰됐다. 유찰로 인해 2억 9000만 원까지 가격이 낮아진 상황에서 대전시가 활용 계획을 낸 것이다.
대전시는 부지가 산업단지 내에 있고, 위치가 드론 특별 자유화 구역으로 지정됐기에 로봇·드론 지원센터가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센터엔 교육장, 실전 테스트 공간 등이 들어설 예정이며, 리모델링 등은 오는 8월에 예정된 추경에 예산을 반영해 시작할 계획이다. 시는 단순 교육공간을 넘어 스타트업과 협업할 수 있는 공간을 계획하고 있으나, 건물을 임차한 것이기에 구조를 변경할 수 없다. 때문에 장기적인 과제로 건물을 매입까지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300억 원에 달하는 건물을 지자체 재정으로 감당하기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결국 국비 확보가 지원센터 조성과 사업 추진의 핵심 과제가 된 셈이다. 시는 국비를 확보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분주하다.
시 관계자는 "교육장, 실전 테스트 공간은 내부 시설만으로도 가능하나, 스타트업을 활용하고 드론센터까지 조성할 계획이기에 건물 구조 전반적인 리모델링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우선 5년간 계약을 체결했기에 그 기간 동안 최대한 국비 지원을 받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소희 기자 shk329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