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 전 한남대 명예교수, 공연예술학 |
최근 단재를 그린 연극 '산책'(신성우 작, 한선덕 연출, 극단 새벽, 2021. 6. 10~12 대덕문예회관, 6.17~26 드림아트 홀) 한 편이 무대에 올랐다. 이 작품은 2020년 대전창작희곡상에 선정된 세 작품 중의 하나로, 단재의 인생행로를 전체적으로 포착하려고 했기에 서사적 넓이를 갖고 있는 작품이다. 단재가 경술국치년 이후 언론 활동을 통해 무장 독립투쟁을 주장하며 온건 타협적이었던 당시 분위기 속에서 외톨이가 되었던 상황, 그로 인해 보다 분명한 반일 투쟁의 노선을 정립하기 위한 역사서 집필을 위해 만주로 옮아가려는 모습, 3.1 만세 운동을 지식인 시각이 아닌 민중의 시각에서 인지하려는 태도, 폭력투쟁을 통한 독립운동을 위해 의열단의 김원봉과 접촉하는 모습, 만주 뤼순 감옥생활 등이 작품의 중요 장면들이다.
작품의 흐름 안에서 중심은 단재(이동규 분)와 박자혜(이여진 분)와의 관계이다. 두 사람은 결혼에 이르기 전 북경의 한 공원에서 산책을 하며 사랑을 일구었는데, 두 사람의 생에서 유일하게 행복감을 공유한 시간이었다. 작품은 그 사랑의 시간이 그 뒤에 이어질 고난의 세월에 비교해서 얼마나 애절하게 귀한 시간이었는지 그리고 자혜가 독립투사의 아내로 두 아들을 배고픔 속에서 키워내며 얼마나 또 한 번 잠시라도 함께하고 싶어 했던 순간인지를 보여 줌으로써 가정과 사랑을 포기해야 했던 단재의 투쟁의 아픔을 전달하려 한다.
박자혜는 원래 궁정 나인이었으나 한일합방 이후 궁정이 해체되면서 방출된 후 신교육의 흐름에 동참하여 간호사가 된 여성이다. 그는 3.1 만세 운동에 적극 참여했다가 고문까지 당하는 혹심한 투옥 생활을 마친 뒤 중국으로 망명하여 북경에서 의대를 다니며 항일투쟁에 나선 야무진 여성이었다. 당시 중국 독립운동의 중심인물 이회영의 주선으로 이혼 상태의 단재와 만나게 되어 그와 결혼을 하게 된다. 중국 내 국제 아나키스 그룹과 연계되기 시작한 단재는 다혜와 짧은 망중한을 거치 뒤 투쟁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대만으로 갔다가 거기서 일경에게 체포되어 만주국으로 끌려갔다.
단재는 역사를 '아(我)와 비아(非我, 타자)와의 투쟁의 기록이다'라고 말한다. 외부와 타자의 강압에 의해 자신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신의 역량을 키워 저항하며 쓰는 기록이 역사라는 것이다. 그는 당시 무력으로 조선을 강점하는 일제에 무장폭력 투쟁을 벌여야 한단 입장이었고 그렇기에 김원봉의 의열단과 손을 잡고 조선혁명선언문을 쓰기도 했다.
이런 비아(非我)와의 투쟁에는 명백한 외부의 다른 존재뿐만 아니라, 내 안의 또 다른 나와의 투쟁까지를 포함한다. 후자의 경우엔 전자의 그것 보다 훨씬 더 깊은 고통이 따른다. 혹심한 뤼순의 투옥 생활에 중병이 든 단재를 일제는 보석을 통해 방출하려 한다. 이에 필요한 보증 서줄 인척도 있다며, 박혜자는 단 한 번만 타협해 달라고, 단 한 번만 아버지 역할을 해달라고. 단재에게 눈물로 애원한다. 하지만 그는 그 인척이 이미 친일분자가 되었기에 보석을 거부한다. 그의 도움으로 보석 석방이 될 경우 세인들이 자신의 글과 말을 부정할 것을 용납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공적 차원이나 역사의 차원이 아닌 극히 사적인 차원의 일이었지만. 자신의 글과 말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뿌리를 자른 것이었다. 매몰차게 아내의 애소를 떨치고 자식 사랑을 끊는 그는 단장의 아픔을 느꼈을 것이다. 서슬 퍼런 엄정함이다. 이동규와 이여진은 이번 공연에서 두 사람의 애절한 사랑과 고통을 절박하게 드러내는 데 성공하고 있다. 연출도 마구 흐트러질 수 있는 장면들을 적절히 잘 꿰매고 있다. 다만 애틋한 사랑이 담긴 '산책'의 장면을 극장 구조와 생산 코스트 때문에 선명히 드러내지 못한 것은 아쉬웠다. 연극을 읽으며 요즈음 국가 운영의 정치적 중립을 견지했어야 할 인사들이 권력욕을 위해 변신하는 모습을 보며 단재의 의연함을 새롭게 떠올린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