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석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차장 |
2020년 12월 발표된 '생명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평균 기대수명은 83.3세, 건강수명은 64.4세로, 두 수명 간 19년이라는 적지 않은 격차를 보인다. 이는 한 개인의 생애 마지막 19년, 전체 삶의 약 22.7%는 건강문제로 인해 활동에 제약을 받으며 살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놀라운 것은 해를 거듭할수록 기대수명은 늘어나는 반면 건강수명은 짧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수명은 길어지는데 건강한 삶은 단축되는 것만큼 괴로운 것이 또 있을까.
이러한 건강수명에 관한 관심으로부터 최근 각광 받는 개념이 '헬스케어'다. 헬스케어란 치료부터 예방, 식습관 조절, 생활습관 관리 등 개인 건강의 총체적인 관리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헬스케어의 부상은 치료(cure)중심에서 케어(care) 중심으로 의료기능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이하 행복도시 세종)에도 이러한 케어중심의 의료가 움트기 시작했다. 작년 7월 개원한 '세종충남대병원'에서 올해 5월에 '헬스케어센터'를 추가로 개원함으로써 행복도시 세종 안에도 개인 맞춤형 건강검진·관리 등 헬스케어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가 조성된 것이다. 이제 병원은 아플 때만 찾는 곳이 아닌 우리 일상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건강관리를 위해 찾는 곳이 됐다. 이러한 케어중심 의료의 중요성을 인식해 행복도시 세종은 의료기능을 전문적으로 특화한 단지 조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하 행복청)은 행복도시 세종의 조성 초기부터 도시 북동쪽에 위치한 5생활권(합강동·다솜리·용호리, 면적 약 688만㎡)을 의료·복지기능 권역으로 설정하여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이후 작년부터 다솜리(면적 약 180만㎡)를 시민 친화적인 의료·헬스케어 분야로 특화하고, 인근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단지(합강동 270만㎡)와 연계하는 방안에 대해 전문가 및 세종특별자치시, 한국토지주택공사 등과 함께 논의를 지속해왔다.
그 결과 작년 12월, '스마트 헬스시티(Smart Healthy City)'를 개발 컨셉으로 하는 '다솜리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커뮤니티 중심의 기존 도시계획 위에 헬스케어, 케어팜(치유농장) 등 생활 속 시민 건강증진을 위한 공간계획을 마련했다. 특히 BRT(Bus Rapid Transit, 급행버스체계) 도로 안쪽으로 '헬스케어 권역(면적 약 15만㎡)'을 별도 설정해 의료뿐만 아니라 주거와 상업 기능이 복합적으로 도입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시민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헬스케어가 가능하도록 구상한 것이 특징이다.
앞으로 행복청은 이러한 밑그림 위에 케어(care)중심의 '생활 밀착형' 의료서비스 제공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핵심 앵커의료시설을 중심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맞춤형 의료서비스 등 언택트 시대에 맞게 비대면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다. 이렇게 '다솜리 헬스케어권역'을 '의료복합단지'로 조성해 꾸준한 건강관리를 통해 삶의 활력을 얻는 사람들이 모여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리 행복도시 세종의 목표다.
건강한 시민들이 건강한 도시를 만든다. 시민이 활력을 띄어야 도시도 생기를 띈다. 행복도시 세종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 '의료복합단지'가 우리 도시를 더 활기차고 생명력 있게 만들기를 기대해 본다. /김용석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