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국가공모사업은 비수도권에 지역가점을 줘야 한다"고 줄곧 강조해왔던 허태정 대전시장의 메시지가 공모 사업 평가에서 긍정 요소로 작용할지도 관건이다.
대전시는 오는 14일 공모사업 주관 부처인 중소벤처기업부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한다. 이에 앞서 10일 추진기획단 2차 회의를 열고 사업계획서 내용을 최종 검토하고 유치 성공을 위한 마지막 결의를 다질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시의 강점은 역시나 대덕연구개발특구다. 'K-바이오 랩허브'를 처음 구상하고 정부에 제안할 수 있었던 것도 바이오 생태계가 갖춰진 대덕특구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여기에는 600개의 벤처, 풍부한 연구인프라, 인력, 대학과 병원 등이 갖춰져 있고, 자금을 조달해줄 캐피탈까지도 이미 확보된 만큼 자원과 기반은 어느 도시보다 탄탄하다.
맨땅에 헤딩이 아니라 갖춰진 인프라를 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업 속도는 빠를 수밖에 없다. 이는 자연히 국민과 국가를 위한 성과로 이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지난 4월 K바이오 랩센트럴 추진협의체 출범식 모습. 사진=이성희 기자 |
대기업의 투자, 의료복합단지, 첨단 설비 등을 앞세워 12개 시·도가 유치전에 뛰어들었기 때문에 예상외로 고전할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이 "대전에 썩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총력적으로 하지 않으면 되는 일이 없다"며 적극적으로 유치 당위성을 홍보할 것을 지시한 이유다.
유치 결과가 부정적일 경우 제안자인 대전시 입장에서는 타격이 크다.
대전시가 구상할 당시보다 사업 규모가 대폭 확장되면서 국가공모로 전환됐다. 코로나19 등 예상치 못했던 바이러스 등으로 백신과 치료제의 중요성이 부각 되면서 지자체보다는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봤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패할 경우 규모를 키우지 않고 대전시의 단일 사업으로 추진했어도 충분했을 것이라는 자책감, 과학수도의 이미지 타격 등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외부 영향 없이 오롯이 도시가 가진 인프라와 역량, 사업계획만 심사된다면 대전이 최적지임을 알 수 있을 것"이라며 "사업계획서 제출까지 역량을 모으겠다"고 했다.
한편 'K-바이오 랩허브'는 총 사업비 3350억으로 국비 2500억, 시 850억 원이다. 14일 사업계획서를 제출하고, 7월 중 최종 입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