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 "좋은 게 좋다"의 딜레마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 "좋은 게 좋다"의 딜레마

  • 승인 2021-06-07 09:38
  • 신문게재 2021-06-08 18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김명주 충남대 교수
김명주 충남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좋은 게 좋다’는 말은 평소 내가 싫어하는 말 중 하나다. 싫은 이유는 원칙에 의한 사려 깊은 숙고 없이 대충 어정쩡 어물쩍 넘어가려는 태도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만수산 드렁칡이 얽혀진들 어떠하리, 누이 좋고 매부 좋으면 좋은 거고, 다수에게 편안하면 유익하다는 통념이 내겐 불편했다. 그래서 좋은 것이 항상 좋지는 않다고 선언하면, 짐짓 매끈한 살갗을 긁어 부스럼 만드는 짓처럼 남들에겐 중뿔나고, 어리석고, 잘난 체하고, 원만하지 못하다는 비난을 받기 십상이었다.

비록 ‘좋은 게 좋다’가 저잣거리의 상식처럼 널리 통용된다 해도, 상식의 시시비비를 가리고, 상식보다 더 정밀한 개념을 만들어내야 하는 학인들의 입에서 나올 말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통념이라는 구닥다리 ‘사회적 상상체’(the social imaginary)를 해체하고, 변화하는 지금의 시대에 더욱 합당한 ‘신화’, 더 나은 사회를 창조하는 데 더욱 유익한 전략으로서의 ‘상상체’를 창조하는 것이 인문 학인의 임무가 아니던가. 그런데 그리 단순하지 않다. ‘좋은 게 좋다’라는 말을 다시금 곰곰 생각해보면서, 이는 특히 우리 사회의 '관계'와 '정의' 사이 딜레마를 보여주는 지점으로 새롭게 다가왔다.

꽤 오래전 일이다. 당시 특정 분야 채용 여부를 결정하면서 나는 과정의 불합리성을 발견했고, 다소 늦었지만 이를 바로잡을 셈으로 어떤 분을 찾아가야만 했다. 그런데 그분은 불합리성에 상당히 공감하면서도 놀랍게도 자신은 “좋은 게 좋다”면서 이의제기에 참여하는 것을 거절했다. 그땐 오로지 실망뿐이었다. 저토록 훌륭한 학자께서 어떻게 "좋은 게 좋은 거다"라고 원칙 없이 공공연히 말씀하신단 말인가, 실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그런데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 생각해보면, 그분에게 원칙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분에게는 '관계'가 원칙이었고, 거절은 그 원칙에 따랐음을 나중에 깨닫게 되었다. 그분은 "관계가 좋은 것이 좋다"는 원칙을 갖고 있었던 것이다. 각자 얽히고설킨 "관계"를 고려할 때, 소위 '불의'에 이의제기하면 '관계'를 두루 망칠 수 있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관계에 서툴면 공공연히 "괘씸죄"를 감당해야 하는 불이익도 종종 있으니까 말이다. 또한, 원칙 자체가 이현령비현령 수시로 들쑥날쑥 해석되는 판에, 가변적 '원칙'과 오랜 세월 쌓아온 '관계'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 그것은 꽤 딜레마였음이 틀림없다. 그분의 선택은 "관계"였고, 결론인즉슨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야말로 정의였던 것이다.



다시 말해, 친한 사람 편드는 것이 정의인 셈이다. 이에 대한 사회적 판단은 꽤 관대하다. 왜? 우린 '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학연과 지연 관계로 똘똘 뭉친 경우, 편드는 '관계'는 모든 것에 우선하는 가치다. 편드는 것은 쉽게 용인될 뿐만 아니라, 편들지 않으면 오히려 친구답지 않다고 여기는 사회다. 이렇게 편드는 사회는 과연 사회발전에 도움이 될까? 진영논리가 판치는 요즘의 정치판을 보면 사회발전에 도움이 안 된다고 단언하고 싶다.

그런데 꼭 그렇지도 않다. 공사 막론하고 사안에 따라 편들 일이 있으면 편드는 것이 맞을 때도 있긴 하다. 친구가 설사 불의한 일을 저질렀을지라도 그 친구에 대한 뭇매에 적극 동참하는 것은 매정하고 심지어 정의롭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이래저래 잔인한 것만큼 불의한 일은 없으니까.

사안은 매번 미묘하게 달라서, 좋은 게 좋을 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때도 많다. 가변적일 수 있는 정의 원칙을 무작정 고수하려는 융통성 없는 원론주의도 아니면서, 제아무리 관계가 정의라 해도 무작정 제 편만 드는 편향성을 피하는 제3의 길은 무엇일까. 친구의 관계를 배신하지 않으면서도 공의로울 수 있는 길은 무엇일까. 딜레마다. 정직한 성찰만이 답이다. /김명주 충남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4 결산] 대전시 해묵은 현안해결 경제부흥 견인
  2. 대전시, 경제성장률 가파른 상승 "눈에 띄네"
  3. "서산 부석사 불상 친견법회, 한일 학술교류 계기로"
  4.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5. 대전 학교 내 성비위 난무하는데… 교사 성 관련 연수는 연 1회 그쳐
  1. 2023년 대전·세종·충남 전문대·대학·대학원 졸업생 취업률 전년比 하락
  2.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
  3.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4. [사설] '대한민국 문화도시' 날개 달았다
  5. [사설] 교육 현장 '석면 제로화' 차질 없어야

헤드라인 뉴스


학교 성비위 끊이지않는데… 교사 예방연수는 연 1회뿐

학교 성비위 끊이지않는데… 교사 예방연수는 연 1회뿐

대전 내 학교 성비위 사건이 잇따르는 가운데 개선은커녕 공회전을 멈추지 않고 있다. 대전교육청이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성 관련 예방연수 횟수는 연 1회에 그치고 연중 발표하려 했던 성 비위 근절 대책안도 내년으로 미뤄졌기 때문이다. 26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현재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성 관련 예방 교육시간은 연 1회 3시간뿐이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성 관련 예방교육 이수시간이 1년에 15시간인 것에 비하면 매우 적은 상황이다. 올해 대전 내 학교에서 교사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 비위 사건 중 공론화된 건은 초·중·고 1..

AI 디지털 교과서 논란...전국 시도교육감 엇박자
AI 디지털 교과서 논란...전국 시도교육감 엇박자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 명의의 건의문이 17개 시·도 간 입장 조율 없이 제출돼 일부 지역의 반발을 사고 있다.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은 12월 26일 이와 관련한 성명을 통해 "우리 교육청은 그동안 AI 디지털 교과서의 현장 도입에 신중한 접근을 요구해왔다. 시범 운영을 거쳐 점진적으로 도입하자는 의견"이라며 "AI 디지털 교과서를 교육자료로 규정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찬성한다"란 입장으로 서두를 건넸다. 이어 12월 24일 교육감협의회 명의의 건의문이 지역 교육계와 협의 없이 국회에 제출된 사실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맑은 날씨에 대전 해넘이·해돋이 둘다 볼 수 있다
맑은 날씨에 대전 해넘이·해돋이 둘다 볼 수 있다

12월 31일과 2025년 1월 1일 오전까지 대전은 대체로 맑은 날씨를 보여 올해 마지막 해넘이와 새해 첫 해돋이를 감상할 수 있겠다. 기상청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연말연시 날씨 전망을 26일 발표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오는 1일 오전 주요 도시별 해돋이 시간은 독도 7시 26분, 부산 7시 32분, 대구 7시 36분, 제주 7시 38분, 강릉 7시 40분, 광주 7시 41분, 대전과 청주, 전주 7시 42분, 서울은 7시 47분께다. 이날 오전 충청권은 대체로 맑지만, 충남 서해안 주변 일부 지역은 구름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 즐거운 성탄절 즐거운 성탄절

  •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