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 인해 소제동 철도관사촌 마스터플랜은 물론이고 진정성 있는 문화재 보존(保存)과 보전(保全) 등 대전시의 문화재 정책 방향에도 파장이 일 것으로 전망된다. <본보 2020년 10월 14일·15·16일 자, 2021년 3월 11일 자 1면 보도>.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는 지난주 소제동 관사촌 국가등록문화 신청과 관련해 모두 부결하고 3일 오후 대전시와 동구청에 각각 공문을 발송했다. 대전 동구 소제동 철도관사촌 4채의 국가등록문화재 신청 부결은 본래 가치를 잃었다는 것이 핵심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철도관사로의 기능을 위한 구조형태가 남아 있지 않았다. 국가등록문화재로 보호하기에는 가치가 미흡했다"며 사유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등록문화재가 된 건물도 그대로 둘 수는 없어 내부 리모델링이나 손을 댈 수 있다. 다만 소제동 관사촌의 경우 전문가들의 조언에 따라 손을 댄 것이 아니었고, 무엇을 어떻게 손댔는지에 대한 기록조차 남아 있지 않았다"고 했다.
제 기능이 아닌 카페나 전시장 등 상업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과 우려했던 대로 내·외부 일부 원형 훼손이 결국 관사촌의 가치를 훼손했다는 결론이다.
사실상 국가등록문화재로 신청한 4채와 관련해 어떤 결과가 나오든 논란은 반복될 소지는 컸다. 원형을 훼손한 근대문화유산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할 경우 보존 방향성에 대한 혼란을 우려했고, 탈락할 경우는 소제동 관사촌이 지닌 가치가 떨어져 향후 소제동 보존을 위한 의지까지 약화될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철거 또는 리모델링되고 있는 관사촌 일부 모습. 사진=중도일보DB·이강산 작가 |
임윤수 철도관사촌살리기운동본부 팀장은 "신청인으로서 안타깝다. 통영이나 군산 지역 문화재도 여전히 사람들이 실생활에서 사용한다. 서점이나 카페가 입점했고 더 많은 사람이 활용하는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근대문화재 활용에 있어 상업적인 면을 우려하지만, 일부 공간은 콘텐츠가 업데이트해야만 사람이 찾고, 결국 문화재로의 역사를 느낄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음도 알아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소제동 관사촌 국가등록문화재 부결로 내년 초 발표할 마스터플랜 수립도 '험로'를 예고했다.
마스터플랜을 주도하는 (주)삼정이엔씨의 용역 계획에서도 민간 위주의 난개발, 과도한 리모델링을 지적했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가치가 미흡하다고 지적한 4채 외에 활용할 수 있는 관사를 적극 확보하고 가치를 인정받는 부분도 핵심이 됐다.
대전시 관계자는 "앞으로 존치구역 내에서 부결된 4채보다 원형이 잘 남아있는 사례를 발굴해야 한다"며 "민관이 바라보는 활용과 보존의 기준선이 다르다. 거버넌스를 통해 방향을 찾아갈 것"이라고 했다.
이상희 대전시 문화재위원은 "관사촌은 시대가 흐름에 따라 생활 공간으로 변형됐던 것으로, 그 공간에 대한 의미나 구조, 형태는 남아 있다고 본다. 앞으로 대전시도 그렇고 상업공간을 활용하는 소유주들도 실패하더라도 공간에 대한 고민과 도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시는 재개발 구역에 포함되는 철도관사촌 이전 보존과 관련해 신안2역사공원 등을 구상하고 있으나 다양하게 맞물린 대전역세권 개발사업으로 구체적인 계획은 나오지 않은 상태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소제동 전경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