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찬술 위원장 |
이유는 정부 당국이 인공 구조물을 설치해 과거보다 안전해졌다고 홍보합니다. 그러자 더 많은 사람이 해변 가까이 와서 살기 시작했고 그러다 쓰나미가 또다시 덮친 겁니다.
10여 년 전, 미국에서 자기 자녀에게 일어날 수 있는 위험 중에서 가장 걱정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조사했습니다. 첫 번째가 유괴사건이었습니다. 이것은 일어날 확률이 7십만 분의 1이고, 자녀가 자동차 사고로 사망할 확률은 유괴에 비해 그 가능성이 100배 이상이나 높은데도 자동차 사고에 대해서는 훨씬 덜 걱정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전문가들은 자기 방어기제나 인지적 게으름으로 설명합니다. 자기 방어기제란, 무언가로부터 위협받는 상황에서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속이거나 상황을 다르게 해석함으로써 감정적 상처에서 자신을 보호하려는 심리를 말하고, 인지적 게으름이란, 새로운 걸 붙잡고 어렵게 쩔쩔매기보다는 기존의 의견이나 생각에 안주하는 것을 말합니다.
'위험사회'의 저자인 독일의 세계적 사회학자 울리히 벡은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삶을 '문명의 화산 위에서 살아가기'로 비유합니다. 그가 2008년 訪韓 했을 때, '근대화가 극단적으로 실험 된 한국 사회는 특별히 위험한, 심화된 위험사회'라고 했습니다.
그러면 우리나라 사람의 위험에 대한 인식은 어떨까요? 정지범 울산과기대 교수는 자주 경험할 수 있는 교통사고나 풍수해와 같은 위험에는 둔감하지만, 광우병이나 메르스, 지진 등과 같이 처음 경험 하는 재난에 대해서는 극도로 민감하고, 어떻게 사고가 발생한 것인지 분석하고 문제점을 고치기 위해 노력해야 함에도 보상이나 배상문제 때문에 책임소재에 지나치게 집착하며, 재난에 대한 방재 노력이나 보험 가입과 같은 대비를 스스로 하기보다는 국가지원에 과도하게 의존한다는 것입니다.
그동안 정부나 지자체에서 만든 위기 대응 매뉴얼이 3천여 개에 달한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우리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사고나 재난이 끊이지 않는 것은 과거 대책들이 형식적이었거나, 안전을 위한 노력이 일회성 투자가 아니라 상시적 비용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간과했기 때문이겠지요.
인간의 두뇌는 종종 편안함을 안전함으로 착각한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무엇보다 경계하고 두려워해야 할 것은 익숙함입니다. 우리는 그동안 세월호와 같은 대형 재난재해를 수없이 겪어왔고, 지금은 코로나 19와 힘겹게 싸우는 중입니다. 인간의 감정 중 가장 먼저 진화한 것이 공포라고 하지요. 위험한 것에 신체적 경고를 보내 대비하게 함으로써 목숨을 지키기 위해섭니다.
1755년 11월 1일, 포르투갈 수도 리스본의 대지진 이후 유럽인들이 계몽주의와 같은 새로운 사회를 실현한 것처럼 우리도 아픈 과거를 딛고 일어 설 수 있을 때 비로소 심화된 위험사회로부터 한 발짝 더 벗어날 수 있을 겁니다.
겨울은 귀로 듣고, 봄은 눈으로 본다지요. 상처받고도 다시 힘을 낼 수 있는 용기, '알프레드 디 수자'가 바라던 삶이 아니었을까, 그의 詩와 함께 시민 모두가 나날이 새로워지는 희망찬 삶을 꿈꿔보는 봄날입니다.
'춤추라, 아무도 바라보고 있지 않은 것처럼. 사랑하라, 한 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 노래하라, 아무도 듣고 있지 않은 것처럼. 일하라, 돈이 필요하지 않은 것처럼. 살라, 오늘이 마지막 날인 것처럼.' /김찬술 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회 위원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