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퇴근 전 45분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퇴근 전 45분

  • 승인 2021-05-26 12:54
  • 신문게재 2021-05-27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GettyImages-a11200752
게티이미지 제공
퇴근시간이 다가온다. 갑자기 허기진다. 눈은 교열 대장을 들여다보고 있지만 머릿속은 음식에 대한 생각으로 가득하다. 삼겹살 먹을까? 아삭아삭한 노지 포기상추 맛있던데. 상추에 금방 지은 밥과 육즙 터지는 고기 두점, 양파 서너 쪽 그리고 쌈장을 얹어 크게 한 입. 하아, 라면도 먹고 싶어. 꼬들한 면 건져먹고 얼큰한 국물에 밥 한 공기 투하, 푹 익은 총각김치 얹어먹으면 끝내주지. 손이 떨리고 식은 땀이 나려고 한다. 먹을 게 없으니 물만 들이켠다. 지금 당장 내 눈 앞에서 전두환이 크림빵 두 개를 건넨다면 망설이지 않고 덥석 받아 게걸스럽게 먹을 것만 같다. 슬프게도 인간의 이성은 본능을 이기지 못한다.

어느새 나는 인터넷을 열고 하이에나처럼 먹이를 찾아 헤맨다. 마우스를 쥔 손이 분주해진다. 미슐랭 별 세 개를 달았다는 호텔 한식당 요리가 촤르르 나온다. 재벌이 운영하는 호텔의 한식당이니만큼 최고의 식재료를 썼단다. 숯불 등심구이, 이름도 생소한 삼색어아탕이 비싼 백자, 유기에 담겨 뽐낸다. 안젤리나 졸리가 방문했다는 식당 요리도 보인다. 세계인(셀럽) 입맛에 맞춰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한식'이어서인지 모양새가 영락없는 고급 레스토랑의 코스요리다. 밥은 새 모이 만큼이고 반찬도 젓가락으로 한번 집으면 그만일 듯. 다이어트 하는 사람이 먹으면 딱이겠다. 고급지고 정갈해서 호사스럽게 보일 뿐, 군침을 돌게 하지는 않는다. 다른 요리로 바로 이동.

푸짐하게 끓는 김치찌개를 넋을 놓고 본다. 나의 뇌는 그것을 뜨거운 밥에 떠넣어 비벼 먹는다. 계란 반숙 프라이, 살라미, 치즈, 양상추 등에 토마토 케첩과 머스터드 소스를 듬뿍 뿌린 토스트도 마파람에 게눈 감추듯 뚝딱! 모니터를 뚫어져라 바라보는 내 눈의 동공은 피자 라지 사이즈만큼 커지고 침을 하도 삼켜 목구멍이 헐 지경이다. 퇴근 직전에 겪는 괴로운 현상이다. 종종 생각한다. 전쟁이 나면 먹을 게 없을텐데 배고픔을 어떻게 견딜까. 2차대전 중 인육을 먹었다는 얘기가 있다. 먹을 것이 아무 것도 없는 극한 상황에서 인육은 아니더라도 먹어본 적 없는 동물을 입에 대는 상황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정말 애벌레, 뱀, 쥐고기를 먹을 수 있을까?

일본의 동시통역사이자 작가였던 '먹보 대마왕' 요네하라 마리가 먹어봤다는 뱀고기. 지지난주 계룡산 갑사에서 뱀과 조우한 살 떨리는 경험이 떠오른다. 풀섶에 들어갔다 풀 색깔과 똑같은 뱀을 못 보고 그만 발로 밟아버린 것이다. 물컹한 느낌과 동시에 기다랗고 굵은 뭔가가 발 양쪽에서 허리까지 뛰어오르는 건 한순간이었다. "엄마아!" 나는 용수철 튀어오르듯 길로 뛰어나갔다. 심장이 펄떡펄떡 뛰고 다리가 후들거렸다. 법당에서 가부좌를 틀고 참선하던 스님이 내 비명소리에 놀라 무슨 일이냐고 소리쳤다. 날벼락을 맞은 뱀도 어지간히 놀란 모양인지 돌담을 넘어 정신없이 도망갔다. 나는 그 뱀의 크기에 또 한번 놀라 주저앉을 뻔했다. 실제로 본 뱀 중에서 가장 길고 굵었다. 밑창이 두툼한 등산화인데도 밟았을 때의 느낌이 생생했다. 그런데 그런 뱀을 먹었다고?



눈 아래 다크서클이 짙어가고 저혈당 증세로 몸이 휘청이는 상황에서 별의별 생각에 사로잡힌다. 맛난 음식을 먹으면 순한 양이 되는 나 역시 먹보 대마왕이지만 미식가는 아니다. 그저 많이 맛있게 먹을 뿐이다. 『미식 예찬』의 브리야 사바랭도 "'미식'은 언제나 '식탐'이나 '대식'과 혼동된다"고 말했다. 그렇다고 로마시대의 타락한 황제나 귀족들처럼 배터지게 먹고 토하고 또 먹는 행위는 욕망하지 않는다. 안정된 식량공급을 보장받기 위해 자유를 포기하고 일평생 노동자로 살아가는 것. 밥벌이는 인간의 숙명이다. 오늘 저녁엔 어떤 음식으로 내 노동의 대가를 보상받을까. <제 2사회부장 겸 교열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