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광장] 내 남편이 바람을 피웠다면

  • 오피니언
  • 목요광장

[목요광장] 내 남편이 바람을 피웠다면

  • 승인 2021-05-26 14:34
  • 신문게재 2021-05-27 18면
  • 이현제 기자이현제 기자
최린아3
최린아 변호사
'여성 변호사'의 특성상 대전과 세종에서 이혼이나 상간자에 대한 손해배상(위자료) 청구 사건을 다수 진행하고 있다. 배우자가 바람을 피웠을 때 상간자에게 법적 책임을 묻기 위한 상대 배우자의 선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배우자에 대한 이혼 절차(협의이혼이든 재판상 이혼이든)와 함께 상간자에게 위자료를 청구하거나, 이혼은 하지 않고 상간자에 대한 위자료만 청구하거나.

상당수의 피해자들(부정행위를 한 유부남/유부녀의 배우자들)은 자녀를 위해 또는 배우자에게 한 번 더 기회를 주기 위해 가족들이 반대해서 등 다양한 이유로 이혼은 하지 않거나 보류하곤 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간자에 대해서는 법적 책임을 묻고 싶어 하는 경우가 많다.

상간자에게 위자료를 청구하는 경우 손해배상액은 원고(부정행위 피해자)와 피고(상간남, 상간녀)의 나이, 원고와 배우자 사이의 혼인 기간, 배우자와 상간자 사이의 부정행위에 대한 상간자의 가담 정도와 부정행위 기간, 태양, 부정행위로 인해 원고와 배우자 사이의 혼인이 파탄됐는지(이혼에 이르렀는지) 여부 등 제반 사정을 참작해 정해지는데, 대개 이혼한 경우 1000~3000만 원, 이혼하지 않은 경우 500~1500만 원 정도 선에서 책정한다.



피해자가 겪게 되는 정신적 고통에 비하면 턱없이 적은 금액이지만, 법원에서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현실의 위자료 시세(?)가 그러하니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간통죄가 폐지되면서 부정행위에 대한 위자료가 증액될 것이라는 예측이 많았으나, 아직까지는 변화가 미미해 보인다.

이혼을 하지 않고 위자료를 청구하는 경우 상간자에게 인정되는 손해배상액은 고작해야 500~1500만 원 정도임에도 불구하고 피해자들이 변호사를 선임해 소송까지 진행하는 이유에는 물론 금전적으로나마 정신적 고통을 위자(慰藉) 받기 위한 것도 있지만, 상간자들에게 잘못을 깨닫게 하고 다시는 같은 잘못을 저지르지 않게 하기 위한 경고적 의미도 큰 것 같다.

피해자들은 어떻게 하면 상간자의 직장 또는 친지들에게 불륜 사실을 알려 상간자에게 사회적 망신을 줄 수 있을지를 고민하기도 하는데, 민형사상 명예훼손이 문제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고지하고 (사내 불륜의 경우) 회사 인사팀에 정식으로 징계를 요구하거나 '부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을 피보전채권으로 상간자의 급여를 가압류하는 등 법의 테두리 안에서 액션을 취할 것을 조언한다.

여기까지가 그간 변호사로서 상간자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를 의뢰받을 때 피해자들에게 했던 루틴 한 조언인데, 피해자들이 이혼은 하지 않기로 결심한 이후에도 어떻게든 상간자 주변 사람들에게 불륜 사실을 알리려고 할 때, 한편으로는 이해가 가면서도 100% 공감하지는 못할 때도 있었던 것 같다. 얼마 전 그 꿈을 꾸기 전까지는.

남편의 여성 직장동료와 남편, 내가 나란히 앉아 저녁식사를 하게 되었는데, 남편이 나보다도 동료를 챙기는 모습에, '사랑에 빠진 사람'의 눈빛과 행동에 당황해 "와이프 옆에 두고 뭐하는 거야, 지금?"하고 자리를 박차고 나왔다. 쿨한 척 그 동료에게 "다음에 봐요"라는 인사까지 하고.

그런데 어두운 바깥으로 나온 후 남편이 날 따라오지도 않고, 그게 아니라고 오해라고 변명조차 하지 않았다는 걸 깨닫게 된 순간 내 마음은 용암이 분출되기 직전의 화산처럼 부글부글 끓기 시작했다. '이 **들 회사에 쫓아가서 시원하게 싸**를 날려?', '회사에 진정을 넣어?' 짧은 순간 오만가지 생각이 들었다.

다시 식당으로 들어가서 남편에게 언제부터냐고 물으니 "이제 시작이다. 어느 순간부터 좋아졌다"고 말하는데, 다른 이성을 좋아한다는 사실 자체보다 그 미안함 없는 당당한 모습에 더 큰 상처를 받았다. 그때 마침 야근 후 피로에 지친 남편이 집에 들어오는 소리에 잠에서 깼고, 현실의 남편은 영문도 모르고 '몹쓸 놈'이 돼 새벽 3시에 한참 동안 꿈속 피해자의 타박을 들어야 했다.

한낱 꿈속에서의 짧은 체험이었지만, 의뢰인들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더 이해하게 됐다. 상간자를 상대로 뭐라도 하지 않으면 그 화에 내가 죽을 것 같은, 어떤 방식의 응징이라도 해야만 내가 숨 쉬고 살 수 있을 것 같은 그 마음을.
최린아 변호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학대 마음 상처는 나았을까… 연명치료 아이 결국 무연고 장례
  2. 원금보장·고수익에 현혹…대전서도 투자리딩 사기 피해 잇달아 '주의'
  3. 김정겸 충남대 총장 "구성원 협의통해 글로컬 방향 제시… 통합은 긴 호흡으로 준비"
  4. [대전미술 아카이브] 1970년대 대전미술의 활동 '제22회 국전 대전 전시'
  5. 대통령실지역기자단, 홍철호 정무수석 ‘무례 발언’ 강력 비판
  1. 20년 새 달라진 교사들의 교직 인식… 스트레스 1위 '학생 위반행위, 학부모 항의·소란'
  2. [대전다문화] 헌혈을 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
  3. [사설] '출연연 정년 65세 연장법안' 처리돼야
  4. [대전다문화] 여러 나라의 전화 받을 때의 표현 알아보기
  5. [대전다문화] 달라서 좋아? 달라도 좋아!

헤드라인 뉴스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시와 충남도가 행정구역 통합을 향한 큰 발걸음을 내디뎠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홍성현 충남도의회 의장은 21일 옛 충남도청사에서 대전시와 충남도를 통합한 '통합 지방자치단체'출범 추진을 위한 공동 선언문에 서명했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수도권 일극 체제 극복, 지방소멸 방지를 위해 충청권 행정구역 통합 추진이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대를 갖고 뜻을 모아왔으며, 이번 공동 선언을 통해 통합 논의를 본격화하기로 합의했다. 이날 공동 선언문을 통해 두 시·도는 통합 지방자치단체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충북은 청주권을 비롯해 각 지역별로 주민 숙원사업이 널려있다. 모두 시·군 예산으로 해결하기에 어려운 현안들이어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사업들이다. 이런 가운데 국토균형발전에 대한 기대가 크다. 윤 정부의 임기 반환점을 돈 상황에서 충북에 어떤 변화가 있을 지도 관심사다. 윤석열 정부의 지난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충북지역 공약은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 57개 세부과제다. 구체적으로 청주도심 통과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구축,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