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역 복합환승센터 조성과 도로 개설이 임박하면서 이전이 불가피해 현 단계에서 복원 논의는 적절치 않다는 각 기관들의 의중이 모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등록문화재 존치 여부가 개발사업에 의해 후 순위로 밀렸다는 자조 섞인 반응이 쏟아질 정도다. <2021년 5월 3일 자 5면 게재>.
철도보급창고는 지난달 29일 강풍에 크게 훼손됐다. 지붕이 일부 탈락 됐고, 벽체 앞부분은 안쪽으로 크게 휘어지면서 위태로운 모습이다. 목재 건물로 외벽 뒤틀림 현상이 있었고, 강풍에 취약한 구조지만 그동안 별다른 보수는 없었던 만큼 예견된 행보라는 지적도 나온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피해 보고를 받은 결과 천장과 벽이 전부 훼손됐다. 긴급 보수를 했지만, 향후 보수가 이뤄진다고 해도 전부 철거하고 수리를 해야 할 만큼 심각한 단계"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철도보급창고 정식 보수는 현 상태에서는 불가하다는 각 기관의 입장이 확인됐다.
현 소유주인 한국철도공사는 철거 이전이 예정돼 있어 보수 추진은 예산 낭비라 했다. 이전 후 정착지가 확정되면 그때 예산을 투입해 복원하는 것이 합리적인 대안이 아니겠냐고 반문했다.
철도공사 관계자는 "시와 문화재청에서는 현 상태는 위험하니 지금 해체해서 보관하다가 이전 위치가 확정되면 그 자리에 복원하자는 안도 논의한 것으로 안다. 공사 입장에서도 현재보다는 이전 후 보수 복원이 가장 적절하다고 본다"고 답했다.
그러나 문제는 예산 투입이 아닌 복합환승센터와 도로개설 계획과 맞물려 이전 여부 또는 정식 보수 시기가 결정될 수밖에 없는 '선개발 후보수' 시스템에 있다는 지적이다.
철도보급창고는 복합환승센터 일부와 도로 신설에 저촉되는 부지에 포함돼 있다. 주변 인근 지역은 이미 보상 절차를 완료했고, 남은 것은 철도보급창고 하나다. 이렇다 보니 향후 최종 보상이 이뤄지면 소유권은 철도공사가 아닌 대전시로 이관되는 셈이다.
결국 현 소유주인 철도공사도 향후 소유권을 가져와야 하는 대전시도, 그리고 문화재 전반을 보호할 문화재청도 각각의 입장만을 앞세워 철도보급창고 보존과 관련해서는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는 상황이다.
대전시 도시개발 관계자는 "환승센터 그리고 도로계획과도 일정 부분 맞물려 있다. 도로가 6월부터는 하반기 착공에 들어가기 때문에 철도보급창고는 이전 또는 철거가 불가피하다. 어디로 이전할지 담당과의 자문을 거쳐서 확정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문화재 관계자는 "현재 그 누구도 철도보급창고와 관련해 나서고자 하는 주체가 없다. 해체 이전을 얘기했지만 이는 건축물의 아우라를 훼손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잘 쓰지 않는 이전 방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신안역사공원으로 이전되는 것이 큰 그림인데, 소유주, 지자체, 문화재청 등이 개발보다는 등록문화재 보호 차원의 고민을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해미·김소희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