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길거리 무단 투기도 여전한 데다, 다 쓰고 버려진 마스크는 재활용도 쉽지 않아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권익위원회의 '일회용 마스크 사용 실태' 조사결과, 마스크를 매일 1개 이상 사용한다는 응답률이 38%로 집계됐다. 평균 2.3일당 한 개씩 사용하는 셈이다. 응답자 중 82%는 일회용 마스크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렇게 사용한 마스크는 생활 쓰레기로 분류한 땅에 묻거나 소각한다. 문제는 마스크의 주요 재질로 플라스틱 일종인 '폴리프로필렌(PP)'을 사용하기 때문에 소재 특성상 환경오염 유발 원인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타 지자체에서는 폐마스크를 소독한 뒤 마스크 면을 녹여 만든 플라스틱 원료로 서류철, 사원증 상자 등 사무용품을 제작하는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마스크 특성상 분리배출도 어렵다고 폐마스크를 수집한 재활용 업체에서 일일이 분리하기엔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폐마스크를 재활용하려고 폐마스크 부직포와 코를 고정하는 철심과 끈을 분리 배출한다는 건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볼펜이나 플라스틱 칫솔도 재활용 가능한 재질이지만 분리배출이 어렵고 마땅한 대안이 없으므로 생활 쓰레기로 버리는 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5개 자치구에서도 폐마스크 활용 방안을 고민하지만 이렇다 할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여러 차례 사용할 수 있는 면 마스크 사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했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일회용 마스크 사용이 압도적으로 많은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일회용 마스크 사용을 줄이는 것만이 유일한 대안이라고 입을 모은다.
대전환경단체 관계자는 "폐마스크 처리기준도 없고, 현실적으로 시민이 매일 마스크를 분리 배출하기도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라며 "마스크 재질인 플라스틱은 완전히 썩는 데에는 450년이 걸린다. 지자체 차원의 폐마스크로 인한 사회 문제를 줄이기 위한 활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성룡 기자 milkdrag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