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의 늪에서 헤매던 1분기와 달리, 2분기는 줄줄이 이어진 낭보 덕에 세밀한 시정을 그릴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민선 7기 시계는 어느덧 한 바퀴만이 남았다. 시정 흐름 상 수확의 시기는 분명하다. 다만 2022년 지방선거 이전에 국책사업 예산이 시의적절하게 반영되고 첫 삽을 떠야만 오롯이 '허(許)브랜드'가 완성된다는 점에서 허 시장도, 대전시도 성과를 낙관하기는 이르다. 또 민선 7기의 마지막 퍼즐이라 불리는 ‘랩바이오센트럴’ 유치와 옛 충남도청사 디지털 미술관 유치도 큰 난제이기 때문에 대전시정은 고무된 분위기를 원동력 삼아 더 절실한 추진력, 민관정의 끈끈한 공조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이다.
3월 말까지만 해도 대전시정은 '암울' 그 자체였다.
지난해 혁신도시 시즌2 선정 외에는 중기부 이전 대안을 비롯해 굵직한 현안 사업들까지도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 도심융합특구 지정과 대전의료원이 그나마 체면을 살렸다지만 연초 대전시정은 무채색 그 자체였다.
그러나 4월 들어서면서 대전시정 분위기는 반전됐다.
4월 말에는 광역철도망과 시너지 낼 제4차 광역교통망에서도 충청권을 잇는 교통망이 확정됐고, 같은 날 2·4 대책으로 내놓은 지방 신규공공택지 부지에 대덕구 상서동이 선정되면서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밑그림도 그려졌다.
5월 과학과 교육 분야에서도 괄목할 성과가 나왔다. 올해 50주년을 맞는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종합계획은 과기장관회의를 최종 통과했고, 지난해 한차례 고배를 마셨던 우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지자체와 대학 지역혁신사업인 'RIS'도 대전·세종·충남 플랫폼이 선정되는 쾌거를 달성했다. 그리고 마침내 7개월간 대전시정을 압박해왔던 중기부 이전 대안도 최종 기상청+알파(3개)가 확정됐다. 좀처럼 풀리지 않았던 매듭이 연달아 풀린 셈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아마 역대 대전시정 가운데 국책사업이 이렇게 연달아 선정된 것은 올해가 처음이 아닐까 싶다. 내부 분위기도 좋다. 다만 코로나19로 인해 최대한 조용히 후속 작업에 몰두하고 있는 것"이라고 내부 분위기를 전해왔다.
다만 대전시 내부에서도 연달아 선정된 국책사업을 현실화하는 후속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사업 선정도 중요하지만 이후 속도감 있는 행정력으로 가시적 성과를 내는 것이 결국은 시정 평가의 요소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지금 눈에 보이는 것이 없다 보니 평가할 수 있는 성과가 없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원도심을 비롯해 국책사업들이 곳곳에서 사업을 시작하면 시정을 바라보는 시민들의 눈은 물론이고 경제 활성화에도 큰 변화가 생겨날 것"이라고 했다.
한편 랩바이오센트럴은 5월 중 중소벤처기업부 공고가 나올 예정이고, 옛 충남도청사 부지는 현재 용역단계로 디지털 미술관 유치를 위해 시정을 집중하고 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