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단체 주도의 공유 자전거 시장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선 적자 폭 개선 등 비용 효율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공공자전거인 '타슈'는 2009년 무인대여시스템 20대와 200대의 자전거로 처음 시행해 현재 261대의 무인 대여소와 2300여 대의 자전거로 운영하고 있다.
'타슈'가 10배를 훌쩍 넘을 정도로 규모가 성장한 데에는 대전시의 사람 중심 교통정책과 맞물려 전폭적인 예산 투입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사업이 확장되다 보니 당연히 예산도 증가해 시는 타슈 무인대여시스템 개선비용으로 매년 약 45억 원을 들이고 있다. 올 연말까지는 타슈 무인 대여소를 1000곳까지 확대하고 보유 공유 자전거 대수를 7300대로 늘릴 계획이다.
문제는 비용 대비 타슈 사용료 수익금은 2억 원 안팎으로 매년 40억 원의 적자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에 타슈는 2억 4900만 원 상당의 이익을 거뒀다. 물론 공공자전거는 일종의 '교통복지'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자전거를 이용하면서 환경과 교통 문제 등의 개선 효과를 볼 수 있지만, 최근에는 민간 공유 전동킥보드와 공유 자전거 등으로 시민들의 눈길을 돌리고 있다. 대전시의 공유 자전거 이용 대수는 지난해 4월까지 17만 801대에 대비 올해 지난달까지 이용대 수 14만 3680대로 소폭 감소했다.
민간 공유 전동킥보드가 널리 퍼지면서 대전시가 운영하는 공공자전거 '타슈'처럼 굳이 대여소를 거치하지 않고, 편한 장소에 놓으면 되니 교통 연계성을 체감하게 된 셈이다. 더욱이 전동킥보드는 페달을 돌리지 않아도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전에는 현재 8개 민간업체가 1800여 대의 공유형 전동킥보드를 운영하고 있다.
이에 시는 자전거 이용 시 발생하는 도로단절 등 장애 환경을 최소화해 소요시간을 40분에서 20분으로 단축하는 소위 '자전거 아우토반'을 구축하고 타슈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폰 앱으로 대여·반납결제를 하는 공유 자전거도 도입할 방침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세종시의 경우 민간 공유 자전거와 공유 킥보드까지 들어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들었다"며 "대전은 민간 공유 킥보드만 운영하고 있어 공유 자전거 '타슈'만의 차별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신성룡 기자 milkdrag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