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키호테 世窓密視] 창작활동지원금의 중차대함

  • 오피니언
  • 홍키호테 세창밀시

[홍키호테 世窓密視] 창작활동지원금의 중차대함

사람이 그렇게 없나?

  • 승인 2021-05-06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지난 월요일, 방송을 찍었다. 강사로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 마련의 디딤돌이다. 평소 물심양면 도움을 주시는 모 방송국 피디님의 배려 덕분이었다.

방송 녹화를 마친 뒤 근처 식당에 들어갔다. 닭볶음탕으로 유명한 단골 식당이다. 그러나 그 집 역시 당면한 코로나 한파를 피해갈 수 없었다. 코로나 19 습격 전에는 줄을 섰던 손님들이었다.

하지만 이제 그런 모습은 전설로 회자할 수도 있을 만큼 손님이 뜸했다. 업소에 손님이 줄면 사장의 수입도 감소한다. 한 마디로 '배가 고프다'. 기자와 작가에 이어 강사로 도약하고자 하는 나의 야심은 명료하다.

나 또한 여전히 굶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윤여정 씨가 영화 '미나리'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받았다. 덕분에 코리아의 위상까지 덩달아 격상되는 기쁨을 국민이 맛봤다.



아울러 예술인의 존재감까지 새삼 도드라지는 계기로 발전했다. 배우인 윤여정 씨나 문인인 나 또한 예술인(藝術人) 범주에 속한다. 윤여정 씨는 지금 한창 화양연화(花樣年華)의 물씬한 봄을 누리고 있다. 한마디로 '화양여화'다.

오랫동안 고생만 한 보답을 톡톡히 받고 있는 셈이다. 반면 대다수 한국의 예술인들 삶은 어떠한가. 2018년 기준으로 예술 활동 수입이 연 1200만 원, 월 100만 원을 밑도는 예술인이 전체 72.2%에 달했다.(근로복지공단 사외보 '희망나무' 2021년 3월호 참고)

이처럼 수입이 형편없다보니 예술인 경력 단절 사태가 속출하고 있다. 천만다행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 의해 예술 활동 증명을 완료한 예술인에게는 일정액의 창작활동지원금을 준다.

지인 문인 덕분에 이 제도를 알게 되어 나도 신청했다. 고액은 아니지만, 동족방뇨(凍足放尿) 수준은 충분히 넘는다. 없는 사람에게 있어 누군가 도와주는 따뜻한 밥 한 그릇은 후일 일반천금(一飯千金)의 고마운 메아리로 돌아오는 법이다.

지난해 예술 활동 증명을 완료한 예술인 중 가장 많은 분야 종사자는 음악이었다. 미술, 연극, 문학, 연예, 국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예술인에 문인이 속하는 까닭에 영국 작가 조앤 롤링을 호출한다.

그녀는 세계적 베스트셀러 '해리포터'가 히트하긴 전까지는 궁핍을 면치 못했다. 그러다가 이 작품이 히트하면서 환골탈태의 거부가 되었다. 1997년부터 2006년까지 10년 동안에만 무려 310조 원을 벌어들였다.

찢어지는 가난과 12군데 출판사로부터 연거푸 출간 거절을 당하곤 낙담해 출간을 포기했다면 오늘날의 그녀는 존재할 수 있었을까? 새삼 창작활동지원금의 중차대함을 발견하게 되는 대목이다.

한편 모 부처 장관 후보자의 면면에서 다시금 부적격자들을 보게 된다. 그중에는 장관 후보자 차남이 회사의 창업자이었음에도 문을 닫은 뒤 근로자로 신고하여 실업급여를 받았다고 한다.

장삼이사인 나조차 작년에 퇴직한 뒤 실업급여라곤 구경도 못 했는데 해도 해도 너무한 것이다. 이뿐 아니다.

모 장관 후보자는 세종시 아파트를 특별공급으로 분양받은 뒤 한 번도 거주하지 않고 팔아 2억 이상의 차익을 봤다. 이에 질세라 모 장관 후보자 아내는 수천만 원대 고가 유럽산 도자기를 들여와 인터넷으로 불법 판매까지 했다고 전해진다.

'사람이 그렇게 없나?'라는 탄식이 절로 나왔다. 세상과 사람은 옥석혼효(玉石混淆), 즉 옥과 돌이 섞여 있다. 그러므로 특히 고위직 인사 때는 그걸 철저히 가려야 한다.

지금 이 시간에도 어렵지만 순수한 열정으로 창작활동에 매진하는 예술인이 많다. 청렴결백(淸廉潔白)과 사면춘풍(四面春風)까지 갖춘 지인 문인이 장관 되는 날은 언제가 되어야 할까.

홍경석 / 작가·'초경서반' 저자

* 홍경석 작가의 칼럼 '홍키호테 世窓密視(세창밀시)'를 매주 중도일보 인터넷판에 연재한다. '世窓密視(세창밀시)'는 '세상을 세밀하게 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캡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