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상훈 회장 |
교통 분야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환경문제를 비롯해 교통약자에 대한 배려, 교통 복지 및 서비스 향상 등일 것이다. 어느 한 측면만이 아닌 인간의 삶이라는 전체적인 시각에서 바라봐야 한다. 현재 대전시는 지하철과 시내버스 노선 운영을 통해 대중교통 수요에 어느 정도 대처하고 있지만, 도심재생과 공간의 활용, 시민의 이동성 보장 등은 아직 많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바로 트램이다.
트램은 지속가능한 교통수단이다. 도시발전을 위한 도시프로젝트의 개념으로, 도시환경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하나의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유럽에서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 트램 도입의 성공 여부는 프랑스와 영국의 예에서 찾아볼 수 있다.
프랑스의 경우 81개 노선(연장 790km, 정거장 1,458개)에 달하는 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약 134km에 달하는 새로운 트램 노선을 계획 중에 있다. '대기 및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법률(LAURE, 1996)', '도시 간 연대 및 재생 관련 법률(SRU, 2000)'을 계기로 2000년도 이후 트램 건설이 큰 폭으로 증가되고 있다. 이처럼 트램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트램을 교통 프로젝트가 아닌 도시 전체의 프로젝트로 인식하고 도심재정비사업 등과 함께 시행했다는 점이다. 시내버스 노선을 포함해 도시 전체의 대중교통 네트워크를 새롭게 정비함으로써 가능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영국의 트램은 버스 회사들과의 경쟁 관계에서 운행되기 때문에 연계 환승의 문제, 운영비용을 운임수입으로 충당해야 하는 문제 등으로 인해 승차 비용이 프랑스의 2배 이상으로 비싸고 불편해 이용이 매우 저조한 상황이다. 또한 교외지역과 시내지역을 연결해 운행하고 있기 때문에 도심 교통으로써의 역할에 한계가 있고, 정거장 간격이 길어 고객으로부터 외면받고 있어 운영에 어려움이 큰 실정이다.
대전시는 세계적 수준의 과학도시로 세종시와 동반 성장하는 광역경제권의 중심 도시다. 특히 대덕연구개발특구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등으로 신산업과 정보통신기술이 크게 발달한 도시다. ‘2030대전도시기본계획’에 따르면 대중교통과 연계한 저탄소 에너지 절약형 도시 구축과 교통서비스 IT 기술 등 첨단과학기술을 도입한 신교통수단 도입을 계획하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트램을 선정하고 현재 한창 건설 단계에 있다.
대전의 트램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도시재생과 다른 대중교통수단 등과의 체계적 연계가 선행되어야 한다. 트램은 현재의 우리나라 대중교통의 패러다임을 획기적으로 전환하는 기회가 될 것이 확실하다. 앞으로 우리 대전의 트램이 성공적으로 건설되고 운영됨으로써 다른 자치단체의 모범사례가 되며 우리나라의 새로운 대중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
/창상훈 한국철도학회장·대전시 트램정책 자문위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