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시간 마저도 거리를 두고 앉아 먹는 탓에 새학기가 돼도, 누가 같은 반인지 조차 모르는 게 현실이다.
또래 집단을 형성하는 청소년기, 친구들을 잃어버린 아이들은 자꾸만 가상의 세계에 빠진다.
사람과의 거리를 두고, 보다 자극적인 영상을 통해 자극을 받는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전 세계가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학교에 가지 못하는 아이들을 놓고 전문가들은 학습 격차와 돌봄 공백 문제만 다룬다.
그 안에서 자란 소외감과 외로움, 불안함과 강박증같은 마음 건간을 미처 보지 못한다.
정신건강의학과 의사 하지현이 내놓은 '포스트 코로나, 아이들 마음부터 챙깁니다'는 코로나 19 이후 달라진 진료실 풍경에서 발견한 아이들의 빈틈에 관한 이야기다.
책에서 저자는 코로나 19가 처음 시작된 지난 해 봄에는 코로나 19가 '반가운 마음'이 들었다고 토로한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대면수업이 중단되면서 진료실을 찾는 '민감한' 아이들이 한결 편안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2학기가 되도 학교에 제대로 가지 못하자 아이들의 말은 달라지기 시작했고, 몇년만에 다시 찾아오는 환자도 늘었다.
코로나 19로 아이들의 마음발달에 적신호가 켜졌음을 안 저자는 코로나 19가 아이들의 마음에 어떤 빈틈을 만들고, 어떻게 메울 수 있을지 고민한다.
질문에 답하기 전에 저자는 코로나 19가 부모의 마음에 가져온 불안이라는 것을 알고, 불안의 실체를 명확하게 파악한다. 그리고 학교에 가지 못하는 아이들의 감정 발달 상황을 꼼꼼하게 짚는다.
그 뒤에는 방역 과정에서 드러난 교육과 양육에 대한 한국인의 마음구조에 대해 분석하고, 불안 때문에 생기는 부모의 딜레마와 집중육아와 과잉 육아들에 대해 얘기한다.
책은 총 1,2부로 나눠 1부에서 부모의 불안과 우리 사회를 분석하고, 2부에서는 본격적으로 아이들의 마음 발달과 그 보완방법을 살펴본다.
오희룡 기자 huily@
*'올랑올랑'은 가슴이 설레서 두근거린다는 뜻의 순 우리말입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