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기선 대전시체육회 사무처장. 충남도와 대전시체육회에서 오랫동안 몸담으며 공설운동장을 가까이서 지켜봤다. |
"내 아들딸들이 즐길 곳이 하나쯤 있어야지 않겠냐고 그렇게 모금 운동이 시작됐어요, 예산이 부족하니 업자에게 공사비 대신 땅을 떼어주곤 했죠"
충남도체육회에서 시작해 대전시체육회에서 사무차장으로 2000년 7월 퇴직한 송기선 씨는 공설운동장을 만들자며 학교에서 모금 운동을 벌였던 때를 지금도 기억하고 있다. 충청도민들의 자녀들이 마음껏 뛰고 갑갑한 마음을 풀 수 있는 운동장 하나쯤 있어야지 않겠냐며 지역 유지들이 앞장섰고, 대전시민과 충남도민들은 호응했다. 시내에서 구걸하거나 헌 종이나 비닐, 빈 깡통처럼 폐품을 주어 파는 넝마주이아이들이 많을 때였고, 체육에 관한 관심도 지금보다 훨씬 높았다.
송기선 씨는 "먹고살기 힘들었지만, 우리 아이들이 마음에 응어리를 풀고 재능이라고 찾아볼 수 있게 해주자는 뜻이었고, 부산도 전국체전을 개최하는데 우리도 유치해보자는 결의도 있었다"라며 "산을 깎아서 만들 순 없으니 보문산 아래 일부 시유지 있는 주변에 논과 밭부터 매입했고 도민들의 성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일이었지"라고 기억했다.
공설운동장이 추진되는 중구 부사동은 대전의 외곽이었고, 최초 공설운동장 용지로 확보된 면적은 보문오거리와 보운초등학교가 있는 부사오거리까지 지금의 규모보다 훨씬 컸다. 모금운동으로는 종합운동장을 완성하는데 부족했고, 공사를 맡을 건설사에 땅으로 보상해주는 수밖에 없었다. 북쪽으로는 영진로얄아파트가 있는 일대 부지와 남쪽의 보운초 부지 등이 최초 공설운동장 부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송기선 씨는 "60여 년 전에 추진위원들이 부지를 확보하고 개별 경기장에 밑그림을 그려 착공하지 않았다면 지금 같은 편리함은 누릴 수 없었을 것"이라며 "모금으로는 충분하지 않아 공사비 일부를 땅을 떼어줘 지금의 규모가 됐다"라고 설명했다.
1982년 5월 대전공설운동장에서 열린 제11회 전국소년체육대회 때 전두환 대통령 내외가 참석한 가운데 성화대 기술자가 출입이 제한돼 운동장 전체가 성화대 검은 연기에 덥힌 일화가 있다. 김보성 전 대전시장의 회고록에 의하면 해당 성화대는 1979년 제60회 전국체육대회를 앞두고 한밭종합운동장을 재건축하는 공사 중에 무너졌는데 이때 지금의 위치에 다시 세운 덕에 연기가 운동장으로 들어오는 일은 없었다.
송기선 씨는 한밭종합운동장을 철거한다는 대전시 구상에 걱정이 앞선다.
송 씨는 "공설운동장에서 경기가 있을 때는 흙으로 쌓은 언덕에 앉아 경기를 보는 이들이 많았고, 시민들 공동체성을 갖는데 이바지했다"라며 "역사 깊은 체육의 요람을 헐고 다른 곳에 다시 짓겠다는데 공청회나 설명회처럼 의견을 듣는 과정이 있어야 하고, 대체 시설에 착공부터 하는 게 순서"라고 전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