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영 경제사회교육부 기자 |
RIS 사업을 준비한 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플랫폼은 실패 요인을 철저히 분석해 올해는 교육부 사업 취지에 맞춰 지역대학이 혁신 주체가 돼 인재양성, 지역 산업혁신을 이끌 수 있는 전략을 치밀하게 짰다고 했다.
대전·세종·충남의 지자체 중심으로 20여 개의 대학, 21개 기관, 70여 개의 기업이 지난해에 이어 다시 뭉쳐 '미래 모빌리티'를 주제로 재도전에 나선다.
이 사업은 대학교육 혁신을 통해 지역혁신을 유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업자로 선정되면 연간 686억원, 최대 5년간 을 지원받는다. 무려 3000여억원이 지역사회로 유입된다. 올해는 어느 때보다도 대전·세종·충남 지자체들이 적극적인 의지를 가지고 직접 나서서 기획과 추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학과 지역 모두 위기에 처해있다. 지역 발전을 견일 할 청년 유출도 심각한 상황이다.
2020학년도에 54만 8000여 명이던 응시생이 올해 2021학년도에는 49만 3400여 명까지 떨어졌다. 대학 입학정원이 55만 606명이니 어림잡아 5만 명이나 미달하는 극단 절벽이 된 것이다. 결국 당장의 눈 앞이 캄캄한 지방대 위기로 고스란히 드러났다. 비단 올해만의 어려움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심화 될 문제라는 점에서 대학들의 우려감은 더욱더 큰 상황이다. 대전이 안고 있는 이런 문제를 완화 시키는 데 선순환 역할을 할 수 있는 게 바로 RIS 사업인 듯하다. 어쩌면 지자체와 대학이 역량을 결집해 생존을 위한 공동의 자구책과도 같다. 대학을 넘어서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을 좋은 기회인 셈이다.
인적·물적 자원이 풍부한 지역대학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해 인재 유출을 막고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것 나아가 지역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은 RIS 사업의 키워드다. 지역혁신 플랫폼이 지자체와 지역대학이 힘을 합쳐 지역혁신 역량을 끌어올리는 프로젝트인 만큼 올해는 반드시 선정돼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경쟁이 아닌 협력으로 대학이 서로 발전할 수 있는 공유대학 플랫폼 구축 등 위기에 처한 대학들의 자구 노력이 더해진다면 선정은 그리 멀리 있지 않다. 탈락의 고배를 딛고 패자 부활하는 모습을 기대해 본다.
박수영 경제사회교육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