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대흥동 충남대 부속병원과 의과대학 모습. 1930년 충남도립 대전의원에서 시작해 1984년 철거됐다. (사진=충남대의과대 총동창회) |
▲내과 600원 외과 900원에 진료
의과대학은 출범 전부터 충남도민과 대전시민의 각별한 관심을 받았다. 뇌염과 콜레라, 장염에도 손쓸 수 없어 가족과 사회구성원을 잃은 열악한 보건의료를 개선되기를 바라는 염원이 담겼을 것이다. 충남대에 의과대학 설치가 인가된 것은 1967년도이었으나, 사실은 1963년도부터 의과대 설립 움직임이 있었다. 1963년 9월 중도일보는 윤태호 충남지사의 기자회견 소식을 전하며 "의과대학 설치를 위해 도립대전병원을 양도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라는 도지사의 타전했다. "의과대학 건물과 병원만 확보되면 중앙에서 승인이 내려질텐데, 의과대가 인가될 때 부속병
1984년 준공 당시 현 충남대병원 모습. (사진=씨엔유건축사사무소) |
▲1967년 의과대 설치 통과
이후 충남대에 의과대학을 설립하는 논의는 수면 아래에 내려간 채 수년을 보냈다. 1952년 도립으로 세워진 충남대가 국립으로 전환되고 1962년 3월 충북대학과 통합돼 국립충청대학으로 개칭돼 1년 만에 다시 분리되는 등 홍역을 앓았다. 1966년 10월 중도일보는 국립대학을 민가에게 불하하려는 정부의 정책을 "팔려넘어갈 운명"이라고 비판하며 김영묵 충남대학원장과 이창갑 공대학장, 박광서 문리대생의 인터뷰를 통해 "대학이 없어지는 결과밖에 초래되지 않는다"며 한 개 지면을 할애해 대학 민영화 반대 목소리를 전달했다. 충남대에 의과대 신설이 다시 논의된 것은 1967년이었다. 1979년 발행된 의과대학생들의 소식지 '의행(醫杏)'에 따르면 1967년 2월 28일 충남대가 충남도에 공문을 보내 도립대전병원을 대학 부속병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고 기록했다. 그러면서 1966년 8월 하순 이 지방의 유지들이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설립 기성회를 결성해 그해 12월 국회에서 충남대 의과대학 설치법안이 가결됐다고 소개했다.
1968년 12월 충남대의대 인가취소 위기 대책회의 보도(사진 왼쪽)와 1972년 7월 충남대 부속병원 개원식 보도. |
충남대 의과대는 신입생 선발 1년 만에 인가 취소라는 위기를 맞는다. 임상 실습할 부속병원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1968학년도 신입생 80명이 입학했는데 그해 12월 중도일보 지면에는 '충남의대 존폐위기에'라는 기사가 게재됐다. 충남의대가 내용부실로 내년도 신입생 모집마저 불가능하다는 문교부 측의 지시를 통지받고 의대기성회 측과 연석회의를 갖고 대비책을 논의했다고 사진을 달아 보도했다. 당시 문교부는 충남대에 의대를 인가할 때 도립대전병원을 대학 부속병원으로 사용한다는 조건이었다며, 무상양여가 이뤄지지 않으면 의대인가를 취소하고 그 TO를 전북의대로 바꾸겠다는 으름장을 놨다. 이때 내무부와 충남도는 스칸디나비아에서 의료지원을 받은 계약관계, 지방자치단체의 10억 원 규모 재산을 정부에 무상양여하는데 적절한 행정절차와 명분이 서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신입생 모집이 취소될뻔한 위기는 김윤환 충남도지사가 의료원을 무상양여키로 방침을 세우고 문교부도 이를 받아들여 신입생 선발을 모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극복했고, 충남대는 그해 의과대 신입생 원서접수를 가까스로 연장했다. 1971년 문교부와 내무부 두 장관이 충남도립의료원을 충남대 부속병원으로 운영하는 협정서를 체결하는 것으로 문제는 종결됐다.
▲한밭도서관 밑거름 된 도립대전병원
중도일보는 1972년 7월 충남대 부속병원이 개원한 소식을 전하며 간호학과 3학년 28명이 첫 임상 실습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그날 기사는 충남대 의과대가 겪은 여러 곡절을 소개하며 "이러한 난산의 고통을 겪었기 때문에 감개무량한 것이며, 도민에 폭넓은 진료혜택과 임상연구에 대한 지역사회가 거는 기대 또한 큰 것으로 해석된다"라고 전했다. 충남대 부속병원이 된 대흥동 옛 도립대전병원 동측에는 높이 7층짜리 의과대학과 대학병원 숙소가 나란히 만들어졌다. 시설확장을 준비하던 충남대는 1984년 현재 대학병원이 위치한 문화동 보운캠퍼스인 문리대학이 있던 자리에 병원을 신축해 이전했다. 기존 도립대전의료원이었던 대흥동 충남대 부속병원은 매각돼 한밭도서관 건설 자금이 되었고, 의과대학과 대학병원 숙소는 대전대 대전한방병원이 사용했으나 이마저도 매각돼 현재는 완전히 철거됐다. 도립병원을 무상양여 끝에 설립한 충남대 의과대는 지난 54년간 의사 5000여 명을 배출했으며 충남대병원 1300병상에 하루 평균 3800여 명의 외래환자가 찾아 아픈 부위를 보이고 치료하는 은행나무가 되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