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당극패 우금치의 '적벽대전' 공연 포스터. |
한국전쟁 당시 무차별하게 자행됐던 산내 골령골 양민학살 사건을 최초로 예술로 승화시킨 것은 의미가 크다는 호평이지만, 사실 전달에 급급해 나레이션으로 줄거리를 전달하는 등 스토리텔링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연극이 갖는 허구를 통한 현실접근의 측면에서 골령골 사태와 예술적 합치가 부족했다는 의견도 나왔다.
지난 15일과 16일 이틀간 대전예당 앙상블홀에서 두 차례 선보인 '적벽대전'은 지난해 옛 충남도청 야외무대에서 올린 공연을 무대극으로 변형한 것으로 향후 대전의 역사를 알리는 지속 가능한 공연으로의 변모를 확인한 자리였다.
'적벽대전'은 총 4장으로 구성했다. 대전의 상징인 철도가 지나가는 모습의 미디어적 표현의 1장에 이어 어둠에서 깨어난 망자들이 쑥부쟁이 걸음을 연습한 2장, 징용과 징병, 제주4.3, 여순사건, 국민보도연맹의 대전형무소 학살 장면을 담은 3장과 4장으로 펼쳐졌다.
지역 문화계 복수의 관계자들은 이번 마당극을 실내 무대로 옮기면서 우금치 특유의 연출이 공간에 갇혀 메시지 전달이 제약됐다고 지적했다.
도입부의 미디어 영상이 길어 초반 몰입감을 저해한 것은 물론, 대전의 정체성이 골령골을 주제로 했다는 것을 제외하면 다소 부족했다는 의견도 나왔다.
송전 한남대 명예교수는 "예술과 골령골과의 관계가 허구를 통한 현실 접근성과는 불일치했다"며 "시간의 흐름을 표현하고 싶어 도입부에 미디어 영상을 길게 사용한 것 같긴 한데, 절제했으면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도청사 야외무대에서와 달리 실내공간으로 무대를 옮기면서 섬세함이 부족해 무대극에서 기대하는 관객들의 기대치에 부합하지 못했다"라고 덧붙였다.
반면, 13년 만에 골령골 유해발굴이 재개되면서 역사적 의미가 크다는 견해도 나왔다.
도완석 작가는 "산내 양민학살과 대전교도소는 가장 가까운 우리의 역사로 연극화해 대중에게 선보였다는 것 자체에 의미가 크다"며 "관객들에게 카타르시스와 재미를 동시에 전달한 대전 역사의 새로운 발견"이라고 덧붙였다.
류기형 마당극패 우금치 대표는 "콘텐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제작하다 보니 3분을 조금 넘긴 것 같다.도입부 미디어 영상이 길었다는 생각을 작품을 완성한 후 느꼈다"며 "마당극을 웃는 연극으로 가볍게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가장 중요한 건 관객과의 공감대 형성"이라고 설명했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