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이 끊어진 조선시대 판소리 무숙이타령 사설이 기록된 '게우사(戒友詞)' 희귀 문헌. 1890년 필사. 판소리에서 '제'(制)라는 말이 붙은 단어 가운데 문헌에 남아있는 기록으로는 이 필사본에 적혀있는 '내포제'가 가장 오래 전에 쓰인 말이다. 충청도 지역의 음악 문화를 바탕으로 한 판소리가 오래 전부터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
판소리 기록 문헌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만화집(晩華集)'이다. 조선시대인 1754년, 충청남도 목천 선비 유진한이 춘향가에 대해 쓴 장편시가 이 만화집에 실렸다. 기록 문헌도 있지만 대부분 사설 등 판소리와 관련된 것들은 구전으로 전해져 온다. 지금도 판소리를 배우는 학생 등도 스승에게 구전으로 소리를 배우고 있다.
노재명 판소리학자가 2017년에 초기 판소리 명창 우춘대의 심청가 중 '화초타령' 장면을 형상화 한 설치미술 작품 <국악음반박물관 소장> |
구전에 따르면 판소리 첫 명창으로 거론된 인물은 '우춘대, 하은담, 최선달'이다. 이들은 판소리 명창 중에서 가장 오래전 명창, 즉 판소리를 처음으로 불렀던 사람으로 꼽힌다. 하은담은 하한담, 하언담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그런데 이들 명창 중에서 2명인 하은담과 최선달은 충청도 출신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는 게 국악학계의 의견이다. 충청도 중고제를 오랫동안 탐구해온 청주의 조동언 명창은 "초기 판소리가 충청도에서 시작된 만큼 첫 판소리 명창도 충청도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우춘대, 하은담, 최선달 명창은 18세기에 활동했던 명창들로 알려졌다. 노재명 국악학자 편저 '잊혀진 판소리 무숙이타령을 찾아서'(2020년)에서 어느 정도 해답을 찾을 수 있다. 노 학자는 이 책에서 판소리 '제'(制)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했다. 판소리에서 '제'(制)라는 말이 붙은 단어 가운데 문헌에 남아있는 기록으로는 무숙이타령 필사본(국악음반박물과 소장)이다. 필사본에 적혀있는 최석황 명창의 '내포제'가 가장 오래 전에 쓰여진 것이라는 게 노 학자의 설명이다.
조선시대 숙종 무렵인 최석황, 하은담 시대에 이미 충청도 지역의 음악 문화를 바탕으로 한 판소리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최석황은 '무숙이타령 필사본'의 기록으로 봤을 때 하은담과 동시대에 활동한 명창으로 추정된다. 정노식 저서 '조선창극사(1940년)'에도 하은담(하한담)과 함께 판소리의 효시(嚆矢)로 충남 결성의 최선달이라고 기록돼 있다. 최선달이 최석황과 동일 인물이거나 같은 집안사람일 가능성이 크다.
하은담과 최선달이 충청도 명창이라면 충청도 사투리를 바탕으로 한 판소리를 구사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초기 판소리 사설 등은 '충청도 스타일'로 구성된 것으로 보여진다. 다음 편은 판소리 사설은 왜 '전라도 사투리'로 돼 있을까에 대해 다룬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