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덕일 대전중구문화원장 |
리차드 용재 오닐은 6.25 전쟁직후 미국 리차드 가문에 입양된 전쟁고아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어릴 때 뇌 손상으로 정신적 지체장애를 가진 미혼모였다. 그래서 조부모가 키웠다. 5살 때 바이올린을 배우고 15세에 비올라로 바꿨다. 이 과정에서 넉넉치 못한 벌이임에도 양할머니의 지극정성 뒷바라지 덕에 오늘날 세계적 음악가가 된 것이다. 처음 이름은 리차드오닐이였다. 이름에 "용재"를 넣은 것은 미국 줄리아드 음대 재학중 그의 스승인 강효 교수가 이름 중간에 용기와 재능이라는 의미로 용재를 가운데 넣으라고 해서 그때부터 리차드 용재 오닐로 활동하게 된 것이다. 미국이름과 한국이름이 함께 쓰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기에 또한 의미가 있다.
비올라는 바이올린보다 화려하지는 않으나 더 깊은 소리로 달콤한 정감을 주는 악기이다. 첼로보다 중후하지는 않지만 중음으로써 고음과 저음의 완충역할을 담당하는 오케스트라에서 빼놓을수 없는 아주 중요한 악기다. 리차드 용재 오닐이 우리에게 많이 알려지게 된 것은 스승인 강효 교수가 창단한 실내악단인 세종 솔로이스트의 단원으로 한국활동을 시작하면서 사랑을 받았고, 2007년에는 한국에 젊은동료들과 함께 디토 앙상블을 창단하여 활동했고 2019년에는 세계정상급 타카치 현악4중주단을 창단하여 세계음악계에서 사랑을 받고있다.
필자가 리차드 용재 오닐의 음악을 처음으로 직접 보고 들은 것은 2006년 10월, 대전예술의전당에서 있었던 그의 비올라 독주회에서였다. 그때 기억을 되살리면서 리차드 용재 오닐의그래미상 수상을 축하하고자 한다. 당시 필자의 머리에는 비올라가 이런 악기였어(?)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감동이였다.
이날의 곡 구성은 근현대 음악과 우리들에게 친숙했던 영화음악까지 다양하게 꾸며졌다. 이곡 모두를 탁월한 기교와 무한한 상상력으로 청중들을 감동시킨 것은 바이올린과 첼로에 가려진 비올라를 새롭게 인식시켜준 음악회였기에 오늘날까지 잊혀지지 않고 있다. 정규 프로가 다 끝나고 앵콜 첫곡은 현대음악가 러시아의 쇼스타코비치 곡 왈츠, 두번째곡은 "엄마가 섬그늘에 굴 따러가면 아기가 혼자남아 집을 보 다가 바다가 들려주는 자장노래에 팔베고 스르르 잠이 듭니다.." 의 "섬집아기" 1절이다. 한인현 동시(童詩)에 이흥렬곡이다. 8분의 6박자, 바장조의 전형적 두도막 형식의 짧은 노래인데 동요이면서 자장가로 들리기도 한 이 노래는 남녀노소 한번만 들어도 따라부를 수 있는 우리가 사랑하는 노래다. 전편에 흐르는 음악이 자기를 길러준 할머니에게 바치는 연주였다면, 섬집아기는 자기를 낳아준 모성이 담긴 노래일것이다. 1절에서는 저음으로 2절에서는 고음의 비브라토로, 순간 내 가슴 뭉클했다. 감상자들 모두는 숙연 그 자체였다. 이날의 음악회는 이렇게 끝났다. 이후 필자가 지휘하는 각종음악회의 앵콜시 꼭 이곡을 연주했고 독주도 많이 했다. 아직도 비올라의 섬집아기는 여운이 남는다. 다시한번그래미상 수상을 축하하고 세계적 음악가 리차드 용재 오닐을 응원한다. 장하도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