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중순 대전광역시의회 의장 |
애물단지로 여겨졌던 에펠탑은 준공 20년 만에 철거될 위기에 놓였으나 살아남았다. 게다가 '에펠탑 효과'에서 알 수 있듯 파리 시민들의 사랑을 받으며 오늘날 세계적인 관광명소가 되었고 프랑스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같은 엑스포의 상징이지만 안타깝게도 대전 엑스포의 한빛탑과 꿈돌이는 당시에는 큰 사랑을 받다가 점점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기억에서 잊히고 말았다.
요즘의 젊은 세대들에게는 낯설겠지만 1993년 개최된 대전 엑스포는 108개 국가 및 33개 국제기구 참여, 총 1400만 명의 관람객이라는 대기록을 세운 성공적인 행사였다. 자기부상열차, 태양전지 자동차라는 1990년대 기준 획기적인 첨단 과학기술을 선보이며 1978년 대덕연구단지가 본격 조성된 이래 지금의 과학도시 대전의 명성을 만드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했다.
대전 엑스포 이후 28년이 지난 지금도 대전이 과학도시임에는 변함이 없다. 다만 1993년 이후 과학도시임을 상징할 만한 대표적인 것이 부재한다는 점이 안타깝다. 엑스포의 상징 한빛탑과 꿈돌이가 대전 시민에게 점차 희미한 존재가 된 것처럼, 과학도시의 정체성을 뚜렷하게 나타내지 못하고 과학도시라는 용어에 묶여 있다는 생각이 든다. 다행스럽게도 대전시는 올 초 과학도시 대전의 위상 제고를 위해 국내 최초 과학부시장제를 도입하며 변화를 꾀하고 있다. 대덕특구와의 가교역할을 수행하고 우수한 과학 인프라를 활용하여 대전의 혁신성장을 이루겠다는 의지다.
차별화된 도시의 이미지는 그 도시의 품격과 가치를 높여준다. 그러나 매력적인 도시 이미지 형성을 위해서는 분명한 목적과 마케팅 관련 치밀한 전략이 필요하다. 제품 하나를 판매하더라도 소비자의 연령, 성별 등 개별 특성을 고려하여 판매 장소, 시간, 광고 제작방향 등 세세한 부분까지 결정한다. 이처럼 지역 관광 활성화, 지역 내 투자유치 등 과학도시 대전 이미지 제고의 명확한 목표를 수립하고 이에 맞는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대전의 과학을 살리기 위한 해답을 꼭 과학에서만 찾을 일이 아니다. 과학과 문화예술, 과학과 체육, 과학과 요리 등 전혀 무관할 것 같은 분야와의 접목을 통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시민참여와 더불어 전문적인 의사결정 체계가 필요하다. 시민이 체감하는 도시의 이미지를 위해서는 시민의 참여가 필수다. 하지만 과학이라는 것은 일반 시민들에게는 다소 어려운 분야다. 이에 과학특구 내 과학 분야 전문가들뿐 아니라 도시 브랜딩 전문가 참여로 선택과 집중을 통한 체계적인 추진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아울러, 그 시대의 트렌드를 읽고 사회상을 반영하여 변화를 거듭해야 한다.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해 K-바이오가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코로나19 진단키트를 전 세계로 수출하는 K-바이오의 중심이 대전이라는 사실은 아쉽게도 대전 시민들에게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시의적절한 홍보와 마케팅이 이미지 형성과 확립에 있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일깨워 준다.
4월은 과학의 달이다. 대전시는 4월을 시작으로 시민들이 함께 체험하고 즐기는 다양한 행사를 온·오프라인을 통해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10월 개최될 국내 최대 과학축제 2021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 준비도 본격 시동한다고 한다. 중국의 사상가 노자는 "끝을 맺기를 처음과 같이하면 실패가 없다"고 말했다. 다시 한 번 과학도시 대전을 만들기 위한 변화의 첫발을 내디딘 지 4개월이 흘렀다. 꼼꼼한 준비와 차질없는 추진으로 이번에는 진정 과학이 일상이 되는 과학도시 대전의 혁신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를 바라본다. /권중순 대전시의회 의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