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낙준 신부. |
'의식이 인간의 존재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사회적 존재가 의식을 결정한다'는 마르크스의 명제가 젊은 날의 가슴에 불을 지핀 언어였습니다. 그러면서 대대로 신앙유산을 이어받은 저에게는 예수님에 대해서는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예수님은 사회적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절대 선을 지킨 분으로 믿었습니다. 하느님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을 지니신 예수님이셨기에 사회적 상황에 대해 예수님은 흔들리시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예수님의 하느님에 대한 절대적인 신뢰가 사회적 상황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자신의 믿음을 강고하게 하셨다는 것입니다. 같은 사회집단 안에서도 착한 사람과 악한 사람이 함께 존재하고 성질이 급한 사람과 성질이 느긋한 사람이 함께 존재합니다. 같은 사회적인 상황 안에서 각기 다른 사람의 모습이 있기 때문에 마르크스의 이 명제가 사회적 조건에 일방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은 무리로 보였습니다. 사회적 조건을 뛰어넘는 예수님과 막달라 마리아 여성이 사회적 조건에 수없이 흔들리면서 산 제게는 신비하시고 우러러 뵐 존재로 보였습니다.
수없이 흔들리는 한가운데서의 절망으로 희망을 가리지 아니하고 살 힘을 예수님에게서 경험하고 막달라 마리아 여성에게서 배웁니다. 자신과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들로 둘러싸였을 때의 불안감이 많으셨을 텐데도 불구하고 그 불안의 한 가운데를 지나시는 예수님에게서 흔들리지 아니하고 사는 길이 있음을 보았습니다. 자신의 인생을 바꿔놓으신 주인님의 주검의 자리에서 주인님의 흔적이라도 모시고자 하는 막달라 여성 마리아의 주인님을 앙망하는 그 마음이 제 마음이기를 간절히 바랬습니다. 너무 가난해서 비가 오는데도 우산 없이 비를 맞으면서 학교를 가는 길이 서러웠던 기억이 지금도 살아서 가난한 동네를 한 바퀴 한 바퀴를 돌게 합니다. 가난한 사람들의 아픈 마음이라도 연대하고 싶어서 걷는 성공회 나눔의집은 지금도 가난한 사람들의 곁에 있습니다.
극한적인 상황에 몰리면 착한 사람이더라도 이기심에 젖은 행동을 하게 되고 이타심이 지배하는 곳에서조차도 나쁜 행동을 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좋은 사회는 무엇이고 나쁜사회는 무엇인가요? 악한 사람이 나쁜 행동을 못하게 하는 것이 좋은 사회이고 착한 사람이 이기적인 사람이 되는 것이 나쁜 사회입니다. 이에 근거하여 우리를 본다면 한국사회는 좋은 사회입니까? 나쁜 사회입니까? 너무 쉽게 이기적인 자세를 취하는 제 모습에서 나쁜 사회를 만드는 제 역할임을 보기에 홀로 통곡하게 됩니다. 수없이 반복되는 행위로 자신의 내면을 깊숙하게 들어가 자신을 살피는 성공회 대전 나눔의집의 길위학교(Road School)를 새롭게 준비하면서 보다 나은 사회를 건설하고자 했던 지난 날의 미숙함을 봅니다. 내적 성찰 없이 외적인 진보는 허상임을 깨닫는 길위학교를 통해 우리 동료인 인간을 위하여 기도하며 동료의 아픔이 자신의 아픔으로 채우면서 걷게 됩니다. 절대 선을 향하여 수행하는 사람으로 확고한 자신을 갖는다면 조금의 바람에 흔들리지 않고 살 것입니다. 절대 선으로 채워진 우주는 우리가 그러하기를 바라고 우리를 바라봅니다.
유낙준 대한성공회 대전교구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