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희룡 디지털룸 1팀장 |
1980년대와 90년대를 주름잡던 홍콩의 누아르가 위축되는 가운데 등장한 세련된 영상미의 영화들은 그의 영화 제목처럼 다시 한번 홍콩영화의 '화양연화'를 열게했다.
유적지를 찾아 자신의 마음을 봉인하는 주인공을 보며, 왕자웨이 세대의 관객들은 다시 한번 '인생에서 가장 아름답고 찬란했던 순간'을 떠올려 본다.
절대 실현되지 않을 것 같던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한국의 영화가 작품상을 받고 피날레를 장식한 데 이어 올해는 한국인의 고단한 이민살이를 그린 영화 '미나리'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의 아이돌이 세계의 아이돌이 되고 한국식 화장과 패션이 유행한다.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창의적이라고 믿고 영화를 만들었다"던 봉준호 감독의 아카데미 시상식처럼,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 된 지금, 우리는 문화적으로 화양연화를 맞이하고 있는셈이다.
인생에서 화양연화가 있는 것처럼 도시에도 화양연화가 있다면 대전은 언제쯤이었을까.
시민들의 심리적 자부심이자 자산인 93 대전엑스포 을 전후해 대전은 줄곧 과학의 도시를 표방했지만, 사실 대전은 철도 부설과 함께 개발된 근대건축물의 도시다.
지난 1904년 경부선 철도의 부설과 함께 도시 기틀을 마련한 대전은 충남도청사, 중앙극장, 우남도서관, 민찬식가옥과 같은 수작들로 채워진 근대 건축물의 보고였다. 문화재청이 2003∼2005년 전국 근·현대 건축물·시설물에 대한 목록화 조사에서 대전에만 176개의 근대 건축물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안타까운 사실은 이 같은 근대건축물들이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면서 수많은 근대 건축물이 대사동별당과 시립연정국악원(옛 우남도서관), 중앙극장(옛 대전극장), 최병한 가옥(19세기 말) 등의 무수한 근대 건축이 사라졌다는 점이다.
문화재청의 국가문화유산 포털에 게재된 대전의 등재 문화재는 22곳뿐이다.
이마저도 대전 중구 대흥동의 일양절충식 가옥(뾰족집)만 대전 중구에서 관리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같은 22개의 등록문화재가 있는 부산이 이중 6개의 등록 문화재를 부산시 등 지자체가 소유하면서 문화공간으로 활용하는 것과는 대비된다.
근대 문화의 보고로 불리는 목포의 경우 30개의 등록 문화재 가운데 4곳이 지자체 소유이며,2018년 국내 최초로 점 단위가 아닌 면 단위 국가등록문화재(제718호)로 지정된 목포근대역사문화공간의 15개의 가옥 역시 목포시에서 매입을 통해 원형 복원을 하고 있다.
조례를 통해 근대문화재 관리에 체계적으로 나서는 지자체도 많다.
대전은 지난 2019년부터 올해까지 대전방문의 해를 통해 관광객 500만 명을 유치하겠다는 청사진을 밝히며 대대적인 문화도시를 표방했었다.
단년도 운영으로 일회성 이벤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3년간 지속적인 운영으로 대전여행 발전의 기틀을 마련해 2022년부터는 대전 방문객 1000만 명 시대를 열겠다는 희망찬 포부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으로 발이 묶이면서 이 같은 계획은 차질을 빚고 있지만, 과연 이 같은 계획 실패가 오롯이 코로나19 때문인지에 대해서는 고개가 갸우뚱거리게 된다.
흔히들 대전을 노잼의 도시, 갈 곳이 없는 도시라고 한다.
탈대전으로 몸살을 앓는 대전이 영화 '화양연화'의 주인공처럼 그 찬란한 순간을 봉인하고 끝내지 않기 위해서라도 근대건축물에 대한 대전의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오희룡 디지털룸 1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