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 중 한 장면이다. 어린왕자가 사막에 누워있는 주인공에게 양을 그려달라는 이야기는 어린왕자를 읽어보지 않은 사람도 알 정도로 유명하다. 최근에 서점에 갔다가 경상도 사투리로 쓰였다는 '애린왕자'를 발견하고 나는 심란한 마음을 숨길 수 없었다. 구수한 말로 어린왕자를 채근질 하는 '나'와 그보다 더 구수해 돼지국밥이 느껴지는 어린왕자.
엔터테인먼트 요소로는 충분한 매력이 있지만, 문학적 가치로는 의문이 든다.
한국의 어린왕자 사랑은 뜨겁다. 필자도 여우와 어린왕자의 대화는 지금도 종종 찾아볼 정도로 좋아한다. 그럼에도 한 문학작품으로부터 이리도 다양한 파생 책들이 있다는 것은 인상적이다. 영어로 읽는 어린왕자, 아이들을 위한 어린왕자, 필기체로 써보는 어린왕자 등등. 게다가 사투리로 쓰인 어린왕자라니. 마케팅인지 문학인지 모호하다.
한국이 OECD 회원국 중 독서량 꼴찌 수준이라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문체부가 지난해 발표한 '2019년 국민 독서실태 조사'에 따르면 성인의 연간 독서량은 6.1권이다. 2017년의 결과에 비해 2.2권이나 감소했다. 학생들의 결과 또한 추이가 좋지 않은데, 초등학생 69.8권에서 고등학생 8.8권으로의 감소를 보인다. 저학년때는 독서량이 많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현저하게 줄어든다. 그 원인은 '실질 문맹률'에 기인한다. 대한민국의 실질 문맹률은 75%에 달한다. 고학년이 될수록 내용이 어려워지니 활자를 기피한다는 뜻이다. 높은 스마트폰 보급률, 빠른 인터넷과 트렌디한 국민들은 우리의 자랑이기도 하지만, 영상과 카드 뉴스 등을 통해 너무나 쉽게 제공되는 정보에 국민 전체의 문해율이 낮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대형서점을 방문해봐도 항상 인산인해를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책과 커피를 즐기는 사람, 문구 코너를 둘러보는 사람들, 사무용품을 구매하러 온 사람들 등등. 책을 구매하는 공간인 서점이 다채로워지며 문화공간으로 거듭났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문화생활을 즐기지 않는 것은 아니다. 국민 1인당 연간 영화관람 횟수가 꾸준히 4회를 넘는 나라는 인구가 35만밖에 되지 않는 아이슬란드를 제외하고는 한국이 유일하다. 개인적으로 이는 국민의 독사량 신장의 기회라 생각했다. 책이 많은 공간으로 사람들이 자연스레 발걸음을 옮기는 문화가 정착했으니 여기서 조금 더 궁리를 해 책으로 손을 뻗도록 하면 되는 것 아닌가. 우리만의 해법이 필요한 시점이다.
안미현 편집2국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