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교에서 한 채 한 채 들어서던 하꼬방은 첫집이 뚜꺼비집처럼 웅크리고 세워진 지 석 달도 못 되어서 무려 100m도 넘는 일렬종대로 변했다. 하꼬방들의 모습은 오뉘처럼 닮아 있었다. 우리는 달바라기. 달을 보고 살아요. 태양은 눈부셔서 눈물이 나요. 그래서 밤마다 달만 보고 산대요."
김수남 작가는 1980년 발간한 소설 '달바라기'에서 전후(戰後) 대전시민들의 삶을 문학에 담았다. 과부집 아들 만배, 홀아비의 아들 동칠이 그리고 진구까지 전쟁에서 살아남아 대전천 판잣집에 정착한 세 아이들이 겪는 생활을 그렸다. 칡뿌리를 캐어먹으려 보문산을 헤매고 남녀노소 없이 여름밤 대전천에서 목욕하며 더위를 식히던 그 때가 소설로 재현됐다. 원동네거리에 있던 부서진 탱크는 '달바라기'에서 아이들 놀이터로 묘사됐다. 김 작가는 아이들 입을 빌려 "죽었다가 못 살아나면 어른들은 왜 총으로 쏴서 죽이구 그러니? 다시 살아날 수 있으니까 죽이는 거지."라며 전쟁의 잔혹성을 꼬집는다. 소설 속 배경은 대전천과 판잣집, 역전시장, 대전역 등인데 그는 "바람이 불면 날아가지 않으려고, 슬픈 일이 있으면 우는 모습을 보이지 않으려고 등을 잔뜩 움츠리고 있는 하꼬방"이라며 판잣집을 묘사했다.
김수남 작가는 6.25전쟁 발발 직후 대전역을 떠나는 마지막 열차 지붕에 오른 피난 세대다. 7살이던 김 작가와 10살 형, 13살 누나를 앞세우고 김 작가의 어머니는 갓난 막내까지 등에 업고 대전역 피난열차 지붕에 올랐다. 김 작가는 "대전역 열차는 유리창이 모두 깨진 채, 객실은 피난민들로 가득 차 들어갈 틈이 없었다"라며 "갓난애를 업고 채 자라지 않은 자식 셋을 앞세워 어머니는 어떻게 피난열차 지붕에 오르셨는지 놀랍고 위대하다는 말로밖에 표현할 수 없다"라고 밝혔다.
대전천 판잣집을 배경으로 한 김수남 작가의 소설집 '달바라기' 1980년 4월 발간한 이 책은 당시 정가 2000원이었다. |
김 작가는 "폭격으로 폐허가 된 도시에 일거리와 끼니를 찾아 사람들이 모여들었고,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자재가 나무와 미군 통조림 캔이었다"라며 "얼기설기 엮어 대전천변에 판잣집 하나가 만들어지면 다른 사람이 잇대어 거처를 만들고 그렇게 반복해 일렬종대 판잣촌이 생성됐다"라고 설명했다.
허리 펼 수 없을 정도로 낮게 웅크린 판잣집은 바람 불면 흔들흔들 비명을 질렀고, 겨울이면 난로 화재 걱정이오 여름이면 홍수에 떠내려가지 않을까 근심이었다.
김수남 작가는 "여름이면 대전 사람들은 대전천을 목욕탕처럼 사용했는데 가로등도 없던 시절 남자 여자 가리지 않고 대전천에 들어가 더위를 식혔다"라고 회상했다.
그는 대전을 낳은 판잣집을 일부라도 재현해 경험을 공유했으면 하는 작은 바람이 있다.
김수남 작가는 "대전은 6.25전쟁과 떼어서 생각할 수 없고 가장 상징적인 게 판잣집이며, 판잣집 재현은 삶의 복원"이라며 "경험이 육화돼 여러 작품에 대전이 등장하는데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펜을 들고 싶다"라고 밝혔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김수남 작가는 ▲1944년 일본 시즈오카현 출생 ▲원동초·대전중·대전고·충남대 국문학과 ▲196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조부사망급래' 당선 ▲2021년 소설집 '그자들은 쇤네를 똥개라 불렀습죠' 발간 ▲대전성모여고 교사 역임.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