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황우 한밭대학교 교수 |
또한 정치인들도 거짓말을 하여 정치적 생명을 위협받거나 거짓말이 사실로 밝혀져 정계를 떠나는 일도 발생하고 있다. 연예인이나 정치인은 공인으로 사회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도 있고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한다. 진실은 도덕성의 중요한 덕목이기 때문이다.
거짓은 사실이 아님을 의미한다. 비슷한 말로 가짜, 허위(虛僞) 등이 있다. 이런 거짓을 말로 하는 행위를 '거짓말'이라고 하며, 말하는 이가 이미 거짓임을 알고 있는 상태에서, 듣는 이를 사실로 믿게 하려고 하는 실제와 다른 발언 또는 일부만 사실인 발언 혹은 사실 전부를 말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거짓말에는 선의의 거짓말과 악의적인 거짓말이 있다. 선의의 거짓말은 이타적인 거짓말을 이야기하는 것이고 악의적인 거짓말은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서 행하는 이기적인 거짓말이라 할 수 있다. 선의의 거짓말은 예의, 수치, 공포, 다른 사람에 대한 보호 등을 이유로 하는 것이며 악의적인 거짓말은 자신의 이익을 목적으로 비밀을 지키거나, 평판을 유지하거나, 감정을 감추거나, 처벌을 피하고자 행하는 것을 말한다.
인간은 이기적인 본성을 지니고 있어 자신을 지키기 위해 위기를 모면하고자 누구나 거짓말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타인과 사회에 손해를 끼치는 악의적인 거짓말과 병적인 거짓말은 사회적으로 큰 문제를 일으키고 긴 휴우증을 남긴다.
거짓말과 비슷한 말로는 허언증이 있다. 허언증은 의식적인 것과 공상적인 것으로 분류하는데 의식적으로 일정한 이익을 목적으로 거짓말하는 것을 '사기(詐欺)와 기만(欺瞞)'이라 하며 공상을 기반으로 하는 병적인 거짓말을 '공상허언증과 뮌하우젠(Munchausen) 증후군'이라 한다. 공상허언증은 현실에서 이룰 수 없는 꿈을 위해 자신의 신분과 정체를 속여 가며 거짓말을 일삼다 결국 본인 자신도 그 거짓말이 사실이라고 믿게 되는 망상장애로 '리플리(Ripley)증후군'과 같은 말이다.
공상허언증에 빠진 사람의 특징은 세계관이 완벽하고, 이상이 높고 욕망이 강한 편이라 하며 죄책을 느끼지 못하는 특징이 있다고 한다. 뮌하우젠(Munchausen)증후군은 병이 없는데도 타인의 관심을 끌기 위해 아프다고 거짓말을 하거나 자해를 일삼는 정신 질환이다. 성장기에 과보호 상태로 자란 사람이 위기상황에 빠졌을 때 자주 나타나는 증상이라 한다.
거짓말을 잘하는 사람은 허영심이 많은 사람이라고 한다. 독일의 철학자 쇼펜하우어(Schopenhauer, 1788~1860)는" 자긍심은 자기 자신에 대해 내부에서 생겨나는 직접적인 평가인 반면 허영심은 이러한 평가를 외부에서 얻으려는 노력이다"라고 이야기했다. 남이 나를 알아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진실과 노력에 비해 쉽게 얻을 수 있는 거짓말은 효율성이 뛰어나다.
거짓말을 잘하는 사람은 진실에 관심이 많다. 진실을 알아야 회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불리한 사실을 인정하는 순간 파멸하기 때문에 거짓말쟁이들은 끊임없이 꼬리에 꼬리를 무는 거짓말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진실은 언젠가 밝혀진다는 진실의 힘을 믿으려 하지만 사실이 밝혀지더라도 크게 달라지지 않는 경우도 많다. 왜냐하면 인간에게는 진실보다 환상이 행복감을 더 주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 사회에 거짓말쟁이가 없어지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거짓은 허상을 만들고 허상은 사람들에게 환상을 갖게 만든다."환상은 현실이 아니기에 진실이 아닌 것을 믿는 대가는 혹독할 수 있다. 가정이 깨질 수도 있고 이웃 간에 오해가 생겨서 다투기도 하고 지역 간에 불신이 조장되기도 한다. 이제 우리는 우리가 사는 동네와 사회에 거짓으로 허상을 만드는 사람들이 있는지 항상 살펴보고 경계해야 한다. 우리 주변에도 허상을 만들어 이익을 보려는 자들이 생각보다 많기 때문이다.
노황우 한밭대학교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