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키호테 世窓密視] 성유소불공(城有所不攻)

  • 오피니언
  • 홍키호테 세창밀시

[홍키호테 世窓密視] 성유소불공(城有所不攻)

경주 최부잣집은 왜 빛나는가?

  • 승인 2021-04-02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세상에서 제일 듣기 좋은 소리는 무엇일까? 아이의 웃음소리다. 아이는 어른처럼 가식적으로 웃지 않는다. 아이가 웃으면 엄마와 아빠까지 덩달아 행복하다.

그러나 현실은 어떠한가. 갈수록 아이가 줄고 있다. 가임여성 1명당 출산율을 나타내는 합계출산율이 작년보다 0.08명 감소했다. 기껏 0.84명으로 3년 연속 1명 미만을 기록함과 동시에 4년 연속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다.

출산율이 자꾸만 떨어지는 까닭은 명료하다. 갈수록 살기가 힘들고 덩달아 아이 기르기도 벅차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출산율은 지난 1974년만 해도, 가구 당 4.5명이나 되었다.

당시엔 아무리 가난했을망정 열심히 살면 다들 각자도생(各自圖生)할 수 있다는 사회적 믿음이 있었다. 이러한 신뢰가 시나브로 붕괴한 것은, 정부가 추진한 불편한 출산장려정책과 맥을 같이 한다.



"덮어 놓고 낳다 보면 거지꼴 못 면한다"에 이어 "둘도 많다"며 하나만 낳으라고 선동했다. 뒤이어 가파른 물가고와 부동산 투기 광풍이 불었다. 물가 상승은 차치하더라도 부동산 투기만큼은 진작부터 단속을 해야 했다.

그러나 이마저 수수방관하다 보니 부익부빈익빈 현상이 가중되었다. 없는 사람은 허름한 전.월세조차 구경하기 힘들다. 반면, 있는 사람은 수백 채나 되는 부동산을 굴리며 불로소득에 희희낙락하고 있다.

아무리 대한민국이 자본주의 국가라곤 하지만 이처럼 빈부의 간극이 엄청나다 보니 당연히 출산율이 떨어지고 있다. 가뜩이나 살기도 팍팍한 터에(특히 서민으로선) 설상가상 '코로나19' 라는 메가톤급 충격의 폭탄이 터졌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노동자들이 가장 큰 피해를 보았다. 실직자까지 급증했지만, 재취업은 난망의 먹구름으로 자욱하다. 이러한 때, 부동산 주무 기관인 LH 직원과 고위 공직자들의 잇따른 부동산 투기가 국민들에게 분노의 기름을 부었다.

성난 민심에 화들짝 놀란 정부는 9급 공무원까지 재산등록을 하겠다며 뒷북을 치고 나왔다. 부동산 업무와는 하등 관련 없고 성실하게 봉직하고 있는 애먼 공무원들의 자존심까지 뒤흔드는 자괴감을 괜스러운 덤터기로 안긴 셈이다.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이 부동산 3법 시행 직전, 보유중인 서울 강남 아파트 전세 가격을 기존 8억5000만 원에서 9억7000만 원으로 14%나 인상해 충격을 안겼다.

이를 두고 세인들은 부동산 정책을 총괄한 정책실장은 전셋값을 대폭 올리면서 남들은 5% 이상 못 올리게 했다는 비판이 터졌다. 이쯤 되면 '내로남불'이 아니라 '아상타정(我上他停)'인 셈이다.

즉 나는 올려도 되지만 너는 그대로 있으라는 거다. '손자병법'에 '성유소불공'(城有所不攻)이 돋보인다. '성(城) 중에도 공격하지 말아야 할 성이 있다'는 뜻이다.

세상을 살다 보면 가져야 할 것도, 얻어야 할 것도 많다. 어떤 계획을 세워 그 목표를 공격해서 빼앗아야 할 때도 있다. 그렇지만 욕심이 과하면 교각살우(矯角殺牛)의 화를 부를 수 있다.

경주
작년에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의 상징인 경주 최부잣집을 찾았다. 최부잣집의 여섯 가지 가훈(六訓) 중 지금도 돋보이는 것은 '흉년에는 땅을 늘리지 말라'와 '만 석 이상의 재산은 모으지 말라'이다.

코로나 시절인 지금은 분명 경제적 흉년(凶年)이다. 그런데도 일부 LH 직원과 고위 공직자는 심지어 원정 부동산 투기까지 일삼았다. 경주 최부잣집의 부(富)의 견지 기초 마인드와 성유소불공(城有所不攻)의 원칙까지 저버렸다.

가뜩이나 심각한 출산율을 더욱 뚝뚝 떨어뜨리게 하고 있다.

홍경석 / 작가·'초경서반' 저자

초경서반-홍경석
* 홍경석 작가의 칼럼 '홍키호테 世窓密視(세창밀시)'를 매주 중도일보 인터넷판에 연재한다. '世窓密視(세창밀시)'는 '세상을 세밀하게 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