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외삼중 유근재 교사 |
"이번 전국 스포츠클럽대회에서는 순위를 겨루지 않습니다."
유례없는 결정이 각 학교에 통보됐고, 우리는 경상북도 상주에 내려가 실제 대회를 치루는 시점이 되어서야 그에 대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들을 수 있었다. 지난해까지 지도교사와 학생들의 승부욕이 과열되어 경기 중 항의가 빗발쳤고, 부상자가 속출했으며, 이러한 상황은 진정한 스포츠축제의 의미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설명이었다. 그래서 이름도 대회가 아니라 축제로 바뀌었다고 했다. 지도교사 입장에서야 주최 측에서 그렇다고 하니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노릇이었다. 다만, 이제 막 스포츠의 참 맛을 알아가기 시작한 나의 학생에게는 어디서부터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막막했다.
보다 높은 곳으로 오르기 위한 규칙 안에서의 경쟁은 모든 스포츠의 대전제가 아니었나. 단순히 순위를 없애면 해결되는 문제였을까. 만약 그래도 안 되면, 그 다음은 어디인가. 그 결정은 체육을 배우면 건강해지고(체), 지식도 갖추게 되고(지), 무엇보다 심성도 좋아져야 하는데(덕), 결과적으로 그러지 못했으니 너무 열심히 경쟁하지 말라는 단편적 논리의 산물로 느껴질 수밖에 없었다. 상주에 오기 위해 또는 각 시·도의 1위가 되기 위해 우리가 수개월간 거쳐 온 승패와 순위의 시스템은 그럼 무엇이었냐는 말이다.
우리는 지금까지 체육과 스포츠를 통해 무엇을 배웠나. 체육과 스포츠를 통해서 나아지는 부분들이 지·덕·체라 칭하는 두루뭉술한 연결이 상당부분 틀렸다는 사실은 이미 수차례 증명되었다. 최근 우리나라 전체를 떠들썩하게 만들고 있는 '스쿨 미투운동'의 시발점이 된 모 스포츠 선수들의 학교폭력 스캔들과 같은 사건이 그 전형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겠다. 스포츠 피라미드의 정점에 오른 승리자 혹은 체육 생태계에서 살아남은 최적의 생존자들이 보여준 기대 밖의 이면들은 우리를 다시금 고민의 원점으로 회귀시킨다.
체육이나 스포츠를 배우면 우리에게 무엇이 생기나. 이 문제에 대한 답변을 내놓으려면 행위의 틀 안에서 종목이나 (순위를 겨루지 않는 등의)형식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무엇을 가르치고 배워야 할지에 대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이 논의를 통해서만 교육자는 어떻게(how)에 대한 해답을, 학생들은 왜(why)에 대한 해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체육이 교과여야만 하는 이유, 더 나아가서 체육이 우리의 삶에서 중요한 이유는 모두 그 지점에서 설명 내지는 설득이 가능하다.
어느 위치 혹은 위계에 있던, 체육이나 스포츠를 가르치는 교육자들은 학생들에게 경쟁의 올바른 의미와 방법을 가르쳐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테면 규칙(심판)과 상대에 대한 존중, 승리와 패배의 인정, 적절한 의사소통 방법과 같은 것들 말이다. 물론 그 모든 과정은 경쟁 혹은 승리의 추구라는 대전제 위에서만 진정한 의미를 부여 받게 되는 것이다. 이제까지 체육을 바라보는 관점이 지나치게 결과론적인 측면(승부욕의 과열, 지나친 항의, 과격한 반칙 등)에만 치우쳐 있었다면, 이제는 우리 학생들이 경쟁의 참 맛, 참 멋을 느낄 수 있도록 과정을 들여다봐야 할 시간인 것 같다.
대전외삼중 유근재 교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