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재명 판소리 학자가 2016년 가신 박기홍(충청도 양반 출신 명창 정춘풍의 수제자)의 단가 '대관강산' 장면을 형상화 한 설치미술 작품. 박기홍 명창은 인물사진이나 판소리 관련 녹음 등을 남기지 않고, 흔적도 없이 세상을 떠났다.<국악음반박물관> |
무엇보다 그는 새로운 판소리 장단인 '진양조'를 완성시켰다. 현재의 판소리 명창은 '송흥록의 진양조'를 그대로 받아들여 사용하고 있다. 진양조는 현재의 판소리 5바탕 중에서 '슬픔'을 묘사할 때 주로 사용한다. 진양조는 판소리 장단에서 가장 느린 장단이다. 예를 들면 심청가 중 곽씨부인의 유언 대목이나 춘향가 중 이몽룡과 춘향이의 '이별 대목'이 진양조로 구성돼 있다. 송흥록은 특히 '귀곡성(귀신 울음소리)'의 소리를 잘 냈다고 한다. 귀곡성은 춘향가 중 옥중가에서 나오는 대목인데, 송흥록이 이 귀곡성을 부르면 촛불이 꺼지고 천장에서 귀신울음소리도 들렸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그래서 국악계는 그를 가왕(歌王)으로 불렀다. 판소리 계의 왕이라는 얘기다. 조동언 판소리 명창은 "송흥록 명창은 국악계에서 전설처럼 얘기가 오갈 정도"라며 "이름 석자가 모든 것을 말해준다"고 말했다.
송흥록 명창이 가왕이었다면 박기홍 명창은 '가신(歌神)' 또는 '가선(歌仙)'으로 불렸다. 가신이나 가선은 왕을 뛰어넘는 신적인 존재라는 의미다. 사실 두 명창은 우열을 가리기 어렵다. 그러나 '칭호(稱號)'로만 본다면 박기홍 명창이 더 높은 위치로 비춰지고 있다. 그만큼 뛰어난 소리꾼이라는 얘기다.
국창 박록주가 박기홍 명창에게 배운 단가 '대관강산'을 1929년에 녹음한 SP음반. 박기홍제의 교과서적인 소리다. <국악음반박물관> |
그렇다면 박기홍 명창은 어떤 인물일까. 먼저 박기홍 명창은 충청도 출신인 정춘풍 명창(3월 28일 보도·10년간의 취재 기록-전라도에 '신재효'가 있다면, 충청도엔 '정춘풍'이 있다)의 수제자다. 가신 박기홍 명창을 제자로 둔 정춘풍 명창은 그야말로 역대 최고의 명창인 셈이다. 박기홍은 전라도 명창이지만 스승인 충청도 정춘풍 명창의 영향을 받았다. 그래서 정춘풍 명창처럼 중고제와 동편제를 아우르며 신선처럼 살았다.
박기홍 명창은 앞서 얘기한 송흥록과 같은 시기에 활동했던 인물은 아니다. 흔히 말해 박기홍 명창은 송흥록 명창보다 한참 후배다. 가왕이 있었다면 가신도 있었다는 얘기다. 아쉽게도 두 명창은 정춘풍 명창처럼 녹음이나 어떤 흔적도 남기지 않고 세상을 떠났다.
국악계 따르면 박기홍 명창은 구한말 인물이다. 그를 포함해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이동백, 송만갑, 김창환, 김창룡, 정정렬, 유성준, 심정순 등 당대 최고의 명창들과 함께 활동했다. 이중에서 가장 뛰어난 소리꾼을 '근대 5명창'이라고 불렀는데, 박기홍 명창은 5명창 중에서도 '으뜸 소리꾼'으로 알려졌다. 한마디로 동료 명창들보다 한수 위였다는 것이다.
그는 '정통 판소리'를 추구했다. 정통 판소리는 곧 '초기 판소리'다. 스승 정춘풍 명창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여진다. 그는 비록, 최하위 계층인 소리꾼이지만 '명창 자존심'을 지켰던 인물이다. 그는 어전광대(왕으로부터 벼슬을 받고 왕실에서 소리한 명창)를 꿈꾸며 왕과 최고의 상류층을 대상으로 소리했다. 그러나 왕권이 바뀌고 소위 상류층 팬들이 쇠락하자, '입'을 닫고 은둔생활을 이어갔다. 정통을 고집한 박기홍 명창은 '판소리의 대중화'를 반기지 않았다. 정통 판소리가 퇴색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대중들이 원하는 것은 정통 판소리보다 '음담패설 판소리' 등을 선호했다. 이를테면 '변강쇠 판소리' 등일 것이다. 그에겐 음담패설 판소리는 자존심이 상할 만한 바탕이다.
특히 박기홍 명창이 당대 최고의 명창으로 꼽혔던 송만갑 명창을 혼낸 일화는 유명하다. 송만갑 명창이 정통 소리를 변질시켰다는 게 이유다.
'중고제 판소리 흔적을 찾아서'(2012년)와 '동편제 심청가 흔적을 찾아서'(2021년)의 저자 노재명 판소리 학자는 "송만갑, 이동백, 김창룡 같은 판소리 대가들이 박기홍 명창을 일러 '가신이니 일언반사도 평을 가할 수 없다' 했고 박기홍의 제자로는 조학진, 김봉문, 박록주, 김세준, 김정길을 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노 학자는 "박록주가 박기홍에게 배운 단가 '대관강산'을 녹음한 음반(1929년)에서 박기홍의 엄청난 그늘이 느껴지는데 탈속의 경지에 이른 이 짧은 소리의 짜임새만 들어보아도 박기홍이 가히 송만갑을 어린 아이 대하듯 꾸짖을 만하다"며, "박기홍은 우리나라 최고의 '국창(國唱)'들로부터 인간 세상 사람이 아닌 '가신(歌神)'의 예우를 받은 만큼 국가급 명창을 초월한 우주급 대명창"이라고 평가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