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노식 저서 '조선창극사'(1940년) 충청도 소리꾼 정춘풍 명창 관련 기록 <국악음반박물관> |
초기 판소리는 12바탕으로 전해져 왔다. 그런데 신재효는 12바탕 중에서 춘향가·심청가·수궁가·흥보가·적벽가·변강쇠타령 6섯 바탕을 세련되게 정리했다. 우리나라 판소리는 이때부터 부흥기를 맞게 된다. 신재효의 개편된 사설 등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판소리 역사에서 독보적인 인물인 셈이다. 정재훈 전북 고창군 고창판소리박물관 학예사는 "고창군의 모든 사업이 신재효와 연관될 정도"라고 강조했다. 영화 '도리화가'의 실존 인물인 최초의 여성 판소리 명창 '진채선'도 이 지역 출신이다. 그런데 신재효와 쌍벽을 이룬 충청도 판소리꾼도 있었다. 바로 충남 공주 출생인 '정춘풍' 명창이다. 신재효가 교과서 등에 등장해 대중적 인기를 얻었다면 그와 우열을 가릴 수 없었던 정춘풍 명창은 이름처럼 봄바람처럼 살다갔다. 그래서 국악계에서조차 익숙하지 않은 인물로 평가된다.
그는 조선시대 헌종, 철종, 고종 때 활동한 동편제 소리꾼이다. '전라지역에 신재효가 있었다면 충청지역에 정춘풍 명창이 있다'라는 말까지 있다. 또 신재효가 이론에 독보적이었다면 정춘풍 명창은 이론과 실기를 해탈(解脫)한 인물로 알려졌다. 정노식의 저서 '조선 창극사'(1940년)에 정춘풍은 동편제 명창이라고 기록돼 있다. 노재명 판소리학자는 "정춘풍이 대개 동편제 명창으로 분류되지만 기본은 충청도 중고제에 바탕을 둔 명창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충청도 중고제 명창 김창룡이 1931년에 녹음한 정춘풍제 심청가 '화초타령' SP음반 가사지. <국악음반박물관> |
현재 국악계에 전승되고 있는 대표적인 동편제는 조선 8명창이자, 가왕(歌王)으로 불리는 전라지역 '송흥록 동편제'다. 그러나 정춘풍은 송흥록 동편제와 달리 새로운 동편제를 개척했다. 우리나라 판소리 동편제 계파를 살펴보면 크게 '송흥록·김세종·정춘풍 동편제'로 구분된다.
정춘풍 명창은 전라도 동편제를 구사하면서도 발음과 구성 등에서 '충청도 동편제'로 새롭게 불렀던 인물로 알려졌다. 국악계는 충청도 명창들이 대부분 중고제를 고집했는데, 정춘풍 명창 만큼은 중고제와 동편제를 넘나들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정춘풍 명창이 중고제·동편제·서편제 등 '제(制)'를 넘나들었던 '신(神)'적인 인물로 평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렇다. 송흥록의 동편제를 살펴보면 대부분 '호통 창법'을 구사했다. 다른 사람에게 호통 치듯 불렀고, 음색 역시 강하고 선명하다. 전형적인 전라도 지역의 동편제 소리다. 반면 정춘풍 명창의 동편제는 '정가 창법'을 구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가풍은 시조를 읊듯이 노래를 부른 게 특징이다. 충청도 사투리와 매우 흡사한 창법이다. 그는 판소리 사설 등 거의 아무것도 흔적을 남기지 않고, 홀연히 사라졌다.
정춘풍 명창의 특이한 이력은 '양반광대'라는 점이다. 조선시대 신분계층에서 최하위로 꼽혔던 광대, 즉 판소리꾼이 양반출신이라는 점은 후대 학자들에게도 충격, 그 자체다.
그는 진사과(進士科)에 급제했을 정도로 양반 중에서도 양반집 가문에서 태어났다. 판소리에 빠져있던 그는 벼슬 등에 관심 밖이었다는 게 국악계의 견해다. 그는 속세에서 벗어나 자연과 함께하며 판소리를 즐겼던 인물로 꼽힌다. 이름 '춘풍'처럼 봄바람과 같이 세상을 즐기면서 생을 그렇게 마쳤다.
노재명 판소리학자는 저서 '꽃피는 중고제 판소리(2016년)'에서 "가왕(歌王) 송흥록을 능가할 정도의 가신(歌神)·가선(歌仙) 평가를 받았던 박기홍을 가르친 대가가 정춘풍 명창이니 그 기량을 능히 짐작할 수 있으며, 정춘풍과 그 수제자 박기홍 모두 언행이나 소리제가 품격이 높고 탈속의 도교적인 색채를 풍긴다"고 적었다.
노 학자는 "중고제 등 충청도의 판소리가 쇠락하다보니, 충청도 출신인 정춘풍 명창은 대중들에게 잊혀졌다"며 "판소리 전체 역사에서 정춘풍이라는 인물은 이론과 실제 소리에 두루 능해 노래의 신을 길러낼 정도로 접신의 경지였던 만큼 이론가 신재효를 뛰어넘는 역대 최고의 판소리 대가로 부르고 싶다"고 설명했다.
제천=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