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
설마, 그거였나? 중국 김치 공장 영상은 충격적이었다. 보는 순간 속이 울렁거려 토할 뻔 했다. 이 영상은 며칠간 온라인을 뜨겁게 달궜다. 흙탕물 같은 누런 소금물에 절인 배추를 알몸의 남자가 모으고 옆에선 녹슨 굴착기가 들어올리고, 갈퀴로 고추더미를 뒤집자 쥐들이 우르르 튀어 나오고, 인부들은 신발을 신은 채 배추를 밟고 있고. 그 비위생적인 광경에 치가 떨렸다. 식당 밥은 속아주고 먹는다는 얘기가 있다. 철 수세미 조각이 나오면 아무렇지 않게 쓰윽 버리지만 비위가 상한다. 음식 재료도 못 믿는 건 마찬가지다. 혹시 중국산? 의심은 끝이 없다. 내가 사는 동네엔 얼마전 배달만 하는 파스타 집이 생겼다. 3평이나 될까? 무슨 꿍꿍인지 창문을 다 가려 안을 볼 수 없게 해놨다. 영화 '미나리'에서 윤여정은 눈에 안 보이는 것은 더 위험하다고 했다.
우리의 식탁은 저질 중국산이 점령했다.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 김치는 물론이고 조기, 낙지, 밤, 표고버섯, 저질 찐쌀, 고춧가루…. 마트건 시장이건 물건을 살 때마다 께름칙한 마음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흙 하나 안 묻은 뽀얀 무와 피망이 아무리 국산이라 해도 믿을 수 없게 됐다. 하나에 천원 하는 브로콜리가 황해바다 건너온 채소일지 누가 알겠는가. 지난 설에 차례 지내고 먹은 곶감은 어떻고. 사실 모르고 먹기도 하지만 알면서도 먹는다. 싸기 때문이다. 중국산은 국산의 절반 가격도 안된다. 김치만 해도 음식점의 80%는 중국산 김치를 쓴다고 한다. 업주로선 훨씬 저렴한 중국산 김치를 쓰면 이문이 남는 걸 뻔히 아는데 굳이 마다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질 나쁜 먹거리를 만드는 중국인과 싸구려만 찾는 한국인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셈이다.
중국에선 요리사가 재상이라는 말이 있다. 요리는 나라를 다스리는 것과 같다는 이치다. 그만큼 중요하다는 얘기다. 이안 감독의 영화 '음식남녀'엔 산해진미가 나온다. 동파육, 북경요리, 훠궈 등 화려하고 멋들어진 요리가 관객의 눈과 식욕을 사정없이 자극한다. 이 영화는 중국인의 자국 요리에 대한 자부심이 얼마나 큰 지 보여준다. 허나 지금의 중국산 먹거리는 위험한 것으로 간주된다. 중국 작가 저우칭은 자신의 책에서 중국 음식이 얼마나 끔찍한 지 낱낱이 까발린다. 마약 생선탕부터 유황 소금까지 온갖 먹거리가 망라돼 있다. 우리가 저질 중국산 먹거리를 안 먹는 방법은 뭘까. 답은 수입 먹거리에 대한 정부의 엄격한 검사와 외식업주의 양심에 있다. 사족 하나. 부산에 여행가서 중국 관광객을 많이 봤다. 그들은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쓰레기통이 옆에 있는데도 쓰레기를 바닥에 마구 버렸다. 새치기도 예사다. 일반화의 오류일 수 있지만 '대국'을 자처하는 중국인의 국민성에 대해 생각하곤 했다. <디지털룸 2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