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만갑 판소리 명창이 1906년 미국 빅터음반회사에서 역사상 최초로 녹음한 '판소리 동편제 심청가' SP음반. 이 기록은 국악계에서 '희귀자료'로 알려졌다. <국악음반박물관 제공> |
동편제는 흔히 말해서 남성의 소리를 내고, 서편제는 반대로 여성의 소리라고 한다. 중고제는 동·서편제의 중간쯤의 소리로 흔히 알려져 있다. 무엇보다 중고제는 고형의 소리라고 보면 된다. 동편제 명창은 판소리를 씩씩한 성음을 탁월하게 구사했다면, 서편제 명창은 슬픈 성음에 능했다. 중고제 명창은 삶과 애환 등 충청도 서민들의 특성을 그려냈는데, 충청권 사투리를 닮았있는 게 특징이다. 또 책을 읽는 듯한 독서풍 가법이나 지나친 감정을 절제했다.
조동언 판소리 명창은 "중고제의 특징은 일상적인 충청도 사투리를 자연스레 장단을 넣어 부르기도 했다"며 "매우 자연미 있고 다채로운 창법을 구사했다"고 설명했다. 판소리 5바탕 중 하나인 '심청가'는 전반적으로 진계면 성음, 즉 아주 슬픔 성음을 구사해야만 맛을 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렇다. 심청가 중 심청이 모친인 곽씨 부인이 세상을 떠났을 때나, 심청이가 인당수에 빠지는 대목은 '슬픈 소리'로 불러야 제 맛을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갓난아이(심청이)를 두고 세상을 떠나는 어머니 곽씨 부인의 심정은 이루 말할 수 없는 슬픔일 것이다. 또 눈 먼 봉사인 심봉사 역시, 아내를 읽고 갓난아이를 키워야 하는 상황은 아픔, 그 자체다.
심청이가 아버지인 심봉사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바다에 몸을 던졌고, 이런 상황을 접한 심봉사는 오열해야만 했다. 이런 점에서 심청가의 기본적인 성음은 슬픈 소리다. 그래서 슬픔을 강조한 '서편제 심청가'가 발달돼 왔고, 전국 대부분 국악인들도 서편제 심청가를 부르고 있다.
노재명 판소리 학자의 저서 '동편제 심청가 흔적을 찾아서(태림스코어 발행) 신간. 노 학자가 36년간 수집해서 쓴 책 한권인데, '충청도 판소리'의 비밀이 풀릴지 관심이다. <국악음반박물관> |
그렇다면 남성적이고 씩씩한 소리인 동편제 판소리 명창이 이처럼 슬픈 심청가를 불렀다면 어떤 느낌이었을까. 최근 발간된 국악학자 노재명 (국악음반박물관 관장) 저서 '동편제 심청가 흔적을 찾아서'(태림스코어 발행)를 보면 어느 정도 해답을 찾을 수 있다.
노 관장은 "현재 동편제 심청가는 '심청가가 있었나' 싶을 정도로 존재감이 없다"며 "30년 넘게 이런 부분에 대해 연구한 결과 초기 판소리 명창들은 동편제 심청가를 불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초기 판소리 명창들은 충청도 명창들이었는데, 전라도 명창들은 충청도 명창의 창법을 수용했다"고 덧붙였다.
기획시리즈 3편은 심청가를 중심으로 전라도 명창들이 충청도 명창들의 창법을 수용한 배경에 대해 구체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제천·단양= 손도언 기자 k-55so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