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영욱 교수 |
정부와 여러 대학의 노력에도 이런 결과가 도출되기까지 구조적 측면의 문제로 '학령인구'감소를 들 수 있다. 2020학년도 수능 응시자 수가 역대 가장 적은 42만 6000명이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정부와 국민 모두가 '인구감소'에 대한 위기의식을 갖고 대비해야 할 것이다. 중·단기적 관점에서 교육 구조개혁과 재정확보를 위한 대학교육 이해관계자들의 노력도 필요하다. 현재 진행 중인 대학의 R&D 역량과 산학협력역량을 연계한 '캠퍼스 혁신파크'사업을 예로 들 수 있다. 대학 내 학생감소로 생겨나는 유휴공간을 친환경, 최첨단 미래산업단지로 변화시켜서 지역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자는 사업이다. 이러한 사업을 더욱 확장하여 도시재생 측면에서 지역사회와 지역대학의 협력과 상생을 제언하고자 한다.
미국 뉴욕주 시라큐스 대학의 오렌지색 시라큐스 거리조성 성공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대학과 지역의 협력과 상생은 21세기 미국 도시재생의 주요 전략으로 자리 잡았다. 코로나 시대를 맞아 현 정부가 추진 중인 '그린 뉴딜 도시재생' 정책에도 부합하는 지역대학과 지역경제를 살리는 상생모델인 'Univer+City'는 대학과 시민, 기업 모두에게 많은 경제적, 사회적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칼럼에서 제언하는 상생모델은 지금 추진하는 사회 맞춤형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LINC+)과 캠퍼스 혁신파크사업의 확장 선에서 대규모로 진행하는 지역사회와 대학의 협업 프로젝트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지역대학들이 지역 곳곳을 바꾸는 대학 중심의 도시재생 사업을 의미한다. 대학이 지자체, 지역기업, 시민들과 협업하여 청년 창업 컨설팅, 거리 바꾸기, 보행환경 개선, 생활편의시설 개선 등 지역에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사업을 수행하면서 지역의 공유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도시재생 관련 각 이해관계자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정부와 지자체는 지역대학과 기업, 시민의 요구사항과 의견을 수렴하고 대학과 함께하는 도시재생 사업 청사진을 제시하면서 예산확보, 구체적인 실행계획 수립,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이행해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 내 기업과 연구소들은 과감한 투자로 지역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을 통해 지역 내 경제적·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면서 대학의 R&D센터, 연구소와 협업해 지역발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대학은 각 학과, R&D센터, 연구소 중심으로 도시재생을 위한 특성화된 대학 고유의 산학협력모델을 갖고 산·학·연 협력사업을 적극적으로 진행해야 할 것이다.
영어로 'conflict'이란 단어는 갈등, 투쟁, 모순의 의미다. 어쩌면, 현재의 지역대학들은 학내·외 '갈등' 속에 학문적 연구와 실무 중심형 교육과정운영, 현장 밀착형 학사제도 운영 등 살아남기 위한 '투쟁'의 장에서 살아왔던 것인지도 모른다. 현재의 지역대학은 학령인구 감소라는 구조적 문제 속에 여러 노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학생충원율' '재학생등록유지율'을 걱정해야만 하는 '모순'속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의 대학이 처한 환경을 'conflict'이라는 다소 부정적 단어로 설명하는 것보다 도시와 지역대학의 '협력', '상생'이라는 희망적, 긍정적인 말이 대학 캠퍼스 내에서 퍼져가는 것을 바란다. 도시재생을 위한 정부, 지자체, 지역대학, 기업, 시민들의 협업 속에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이득이 되는 경제적 가치, 사회적 가치로 구성된 공유가치를 창출하고 상생하는 모습을 희망해 본다./서영욱 대전대 일반대학원 융합컨설팅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