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 샌들과 슬리퍼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 샌들과 슬리퍼

김명주 충남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 승인 2021-03-15 09:09
  • 수정 2021-06-24 14:01
  • 신성룡 기자신성룡 기자
2021020101000100200000461
김명주 충남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십 년 유학을 마치고 한국에 돌아왔을 때였다, 때가 여름인지라 앞뒤가 뚫린 샌들을 신고 귀국 인사차 은사님 연구실을 방문했다. 1994년 8월이었다. 인사를 마치고, 뒤돌아서 연구실을 나가려는데, 은사님께서는 뜻밖에도 내 샌들을 지적하셨다.

"김 선생, 학교에서는 앞뒤가 닫힌 신발을 신으세요." 발가락과 뒤꿈치가 훤히 드러나는 내 샌들이 못내 불편하셨던 모양이다. 학교에서는 정장이 예의고, 샌들은 정장이 아니라는 규범이 통용되던 때다. 어떤 분은 내가 입은 청치마도 문제 삼았다. 청치마는 부적절한 강의 복장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요즘은 여교수가 신는 샌들이나 청치마를 문제 삼을 사람은 없다. 영화 제목처럼, 그때는 틀렸지만, 지금은 괜찮은 것이다.

규범은 시간이 흘러 변화할 뿐만 아니라 공간적으로도 유동적이다. 1990년대 미국의 교수들은 강의할 때도 청바지는 물론이고, 여름엔 샌들에다 반바지 차림도 종종 있었다. 우리에겐 문제였지만 다른 공간 속 그들에겐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한때 절대적으로 보였던 규범은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고, 어느 특정한 공간에서 절대 준수를 요구하는 규범도 공간이 바뀌면 함께 바뀌는 경우가 허다하다. 따라서 모든 규범은 원래부터 그랬던 것이 아니라, 사회적·역사적·문화적으로 특정한 조건에서 만들어진 구성물일 뿐이다. 즉, 요새 말로 규범은 자의적(arbitrary)이고 우연적(contingent)일 뿐, 결코 절대적이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낯선 고국 생활에서 당시 나의 적응을 염려했던 두 분의 충고를 나는 잘 따랐다. 학교에 올 때는 샌들을 신지 않았고, 청치마도 될 수 있는 대로 피했다. 규범의 자의성과 우연성을 모르지 않았지만, 나는 당시 문화가 요구하는 규범을 따랐다. 로마에서는 로마의 법을 따른다는 심정이기도 했지만, 실은 내 맘대로 하기엔 당시 나의 입지가 불안했던 탓이 컸다. 전략적 준수였다. 규범을 새로이 주조하는 선구자의 길은 고단하니, 두어 발짝 발걸음을 늦추는 것이 두루 편하다는 영리한 계산이 있었을 것이다.



복장 규범뿐만이 아니다. 우리가 지켜야 한다고 믿는 윤리와 도덕률도 마찬가지로 역사/문화적으로 만들어진 약속들이다. 교통법규와 비슷하다. 교차로에서 빨간 불이 켜지면 멈추고, 녹색 불이 켜졌을 때 움직이는 것은 색깔이 지니는 내재적인 의미 때문이 아니라, 그렇게 하자는 우리 간의 자의적인 약속을 따르는 것이다. 약속의 위반은 교차로의 원활한 교통을 막을 터이니, 원활한 교통을 위해서 우리는 약속을 지킬 뿐이다. 약속이 절대적이라서 지키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질서를 위해 잠정적으로 지키는 것이다.

나는 규범의 절대성을 믿지 않으면서도 편의상 대체로 규범을 따르는 편이지만,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다. 이번엔 샌들이 아니라 슬리퍼가 문제였다. 누군가는 학생들이 슬리퍼 신고 수업에 오는 행동이 부적절하다고 믿는다. 그리고 이를 가정교육의 문제로 분석했다. 나는 가슴이 뜨끔했다. 왜냐면 우리 집 막내가 이름하여 '슬파족'이기 때문이다. 조상 탓에 발등이 높은 막내는 어떤 신발도 불편했기에 어딜 가든 웬만하면 슬리퍼를 신고 다닌다. 그런 막내를 가끔 타박하긴 했지만, 신체조건 탓이니 많이 타박하긴 힘들었다. 그런데 가정교육이 잘못되었다니, 순간 가슴이 철렁했다.

'샌들이든 슬리퍼든 뭐가 문제에요? 슬리퍼 신었다고 누구에게 해를 끼치나요? 강의실에서 슬리퍼는 틀렸다는 기준은 자의적이고 우연적일 뿐이라고요! 슬리퍼가 공동체 질서를 파괴하는 것도 아니잖아요!'라고 마구 반박하고 싶었지만, 나는 침묵했다. 강의실 슬리퍼의 부적절성은 지금 여기 합의된 공중도덕이라는 주장을 나 혼자 함부로 부정하긴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적어도 나는 규범을 따르지 않는 누군가를 비판하기 전에 한 번쯤 비판 기준의 절대성을 먼저 의심해보겠노라 생각했다./김명주 충남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4 결산] 대전시 해묵은 현안해결 경제부흥 견인
  2. 대전시, 경제성장률 가파른 상승 "눈에 띄네"
  3. "서산 부석사 불상 친견법회, 한일 학술교류 계기로"
  4.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5. 대전 학교 내 성비위 난무하는데… 교사 성 관련 연수는 연 1회 그쳐
  1. 2023년 대전·세종·충남 전문대·대학·대학원 졸업생 취업률 전년比 하락
  2.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
  3.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4. [사설] '대한민국 문화도시' 날개 달았다
  5. [사설] 교육 현장 '석면 제로화' 차질 없어야

헤드라인 뉴스


학교 성비위 끊이지않는데… 교사 예방연수는 연 1회뿐

학교 성비위 끊이지않는데… 교사 예방연수는 연 1회뿐

대전 내 학교 성비위 사건이 잇따르는 가운데 개선은커녕 공회전을 멈추지 않고 있다. 대전교육청이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성 관련 예방연수 횟수는 연 1회에 그치고 연중 발표하려 했던 성 비위 근절 대책안도 내년으로 미뤄졌기 때문이다. 26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현재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성 관련 예방 교육시간은 연 1회 3시간뿐이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성 관련 예방교육 이수시간이 1년에 15시간인 것에 비하면 매우 적은 상황이다. 올해 대전 내 학교에서 교사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 비위 사건 중 공론화된 건은 초·중·고 1..

AI 디지털 교과서 논란...전국 시도교육감 엇박자
AI 디지털 교과서 논란...전국 시도교육감 엇박자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 명의의 건의문이 17개 시·도 간 입장 조율 없이 제출돼 일부 지역의 반발을 사고 있다.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은 12월 26일 이와 관련한 성명을 통해 "우리 교육청은 그동안 AI 디지털 교과서의 현장 도입에 신중한 접근을 요구해왔다. 시범 운영을 거쳐 점진적으로 도입하자는 의견"이라며 "AI 디지털 교과서를 교육자료로 규정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찬성한다"란 입장으로 서두를 건넸다. 이어 12월 24일 교육감협의회 명의의 건의문이 지역 교육계와 협의 없이 국회에 제출된 사실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맑은 날씨에 대전 해넘이·해돋이 둘다 볼 수 있다
맑은 날씨에 대전 해넘이·해돋이 둘다 볼 수 있다

12월 31일과 2025년 1월 1일 오전까지 대전은 대체로 맑은 날씨를 보여 올해 마지막 해넘이와 새해 첫 해돋이를 감상할 수 있겠다. 기상청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연말연시 날씨 전망을 26일 발표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오는 1일 오전 주요 도시별 해돋이 시간은 독도 7시 26분, 부산 7시 32분, 대구 7시 36분, 제주 7시 38분, 강릉 7시 40분, 광주 7시 41분, 대전과 청주, 전주 7시 42분, 서울은 7시 47분께다. 이날 오전 충청권은 대체로 맑지만, 충남 서해안 주변 일부 지역은 구름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 즐거운 성탄절 즐거운 성탄절

  •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