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입장에서는 지역 내 유일한 공공택지 부지인 만큼 사업지로 선정해야 하는 명분과 조 단위의 사업비를 감수하고서도 사업성을 보여줄 수 있는 용역 결과를 도출하는 게 가장 큰 과제로 떠올랐다.
현재까지는 사업에 대한 기대만큼이나 사업의 난도가 높다는 게 대체적인 견해다. 조차장은 경부선(대전역)과 호남선(서대전역)으로 지나는 대동맥 선로가 있다. 차량정비소도 있어 철도 운행의 핵심 공간이다.
만약 폐선이라면 부지 매입 후 선로를 모두 제거하면 되지만, 운행 중인 선로는 우회노선 또는 대안 노선을 찾아야만 아파트 부지로 활용할 수 있다는 맹점이 있다. 시는 철로 지하화를 제기했는데, 이는 조 단위의 사업비가 관건이다. 하반기 착공하는 KTX 대전 북연결선만 봐도 일직선 선형개량 사업 5.96㎞에 3974억 원을 투입하는데, 조차장은 이보다 곱절의 사업비가 예상된다.
철도업계 관계자는 "조차장은 분지이고, 양끝단이 고가선로다. 전면 지하화를 할 때 고가인 끝단 2㎞는 지하화가 기술적으로 어렵다는 목소리가 공통적"이라며 "만든다 하더라도 외곽으로 철길을 다시 내야 한다. 또 KTX나 무궁화호를 보낼 임시선로도 만들어야 하는데 여분의 부지조차 없는 상황이다. 대전시가 타당성 검토를 해봐야 어느 정도 비용이 소요될지 등 기본 구상이 나올 수 있다"고 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철도 전문가들은 공공택지 조성과 관련해 전면 지하화, 선로는 그대로 유지하되 데크형 복합주택을 올리는 대안, 일부는 지하화하고 차량정비소 끝으로 몰아 일부 부지만 공공주택으로 활용하는 등 복합적인 대안을 내놓으며 가능성을 타진 중이다.
처음으로 공공택지 제안을 했던 박영순 국회의원(대전 대덕)은 불가능한 사업은 아닐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영순 의원은 "기존 선로가 있는 특수 구역이다. 기술적으로 검토해야 할 문제도 있지만, 극복 못 할 난제는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용역을 하면 시간은 소요되겠지만, 선정되고 후속 사업이 부진한 것보다 용역 결과에 따라 어느 방법이 좋은지 살펴보는 것이 낫다"고 했다. 다시 말해, 조차장 부지는 국토부와 철도공사 소유이기 때문에 적정 수준의 매입이 가능하고 부지가 넓어 공공택지로는 적합 하다는 판단이다.
대전시는 "국토부가 다녀간 건 시책 가능성을 본 것으로 안다. 대전시는 공사·공단과 LH와 용역 추진 협의를 한 상태지만, 구체적인 스케줄이나 사업비 등은 정해지지 않았다. 용역을 통해 대안을 찾고 최종적으로 사업이 가능한지, 철도 운행에 차질이 없는 범위 내에서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조차장 차량정비소 역할은 신탄진 철도차량정비단이 대안으로 거론됐지만, 조차장은 경정비고 신탄진은 중정비가 주 업무다. 만약 조차장을 공공택지로 만든다면 정비소 또한 제3의 부지를 찾아야 한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