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영 경제사회교육부 기자 |
이를 바탕으로 대전교육청도 최근 원격수업을 진행하는 중에도 희망하는 학생에게 학교급식을 제공한다는 내용 등을 담은 '탄력적 희망 급식 운영 계획'을 지역 내 학교에 안내했다. 물론 학교 급식·방역여건이 여의치 않을 경우 탄력적 희망급식을 운영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취지는 좋다.
하지만 현장 반응은 싸늘하다. 방역에 대한 부담감 때문이다. 당장 교사들은 마스크를 벗고 밥을 먹는 인원이 늘어날 경우 학교 내 감염 위험도가 높아질 것을 우려, 학교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커지는 등 문제점을 지적했다.
일선 학교에서는 감염과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원격수업을 운영하는데, 전파 위험성이 높은 식사 시간에만 등교해 급식을 먹는다는 것은 감염병 방역지침에도 어긋나는 정책이라고 입을 모았다.
앞서 한국교총은 '탄력적 희망 급식 등 급식 목적 등교 정책 전면 재검토'를 요청하는 건의서를 교육부와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 제출하기도 했다. 학교의 본질적인 목적이 교육인지, 급식인지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면 일부분 이해도 된다.
이보다 더 문제는 탄력적 희망급식이 오히려 저소득층 학생을 향한 낙인효과가 될 수 있다 점이다.
일부 학부모들은 등교 수업과 함께 마스크를 벗고 300여 명이 단체 식사를 하는 급식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이런 상황에서 밥을 먹기 위해 '탄력적 희망 급식'을 신청하는 아이들이 몇이나 될까.
사실 현실적으로 가능할지 여부도 미지수다.
단순히 탄력적 희망급식을 밀어붙일 것이 아니라 급식 위생과 운영과 관련 사항을 점검해 보고 보완한 뒤 학교가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시행돼야 한다. 어렵다면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도시락, 급식 바우처, 급식 꾸러미 등을 제공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졸속으로 내놓은 정책이 아닌 세심한 배려 속 아이들의 시선에서 생각하고 내놓은 정책이 필요하다. 올해는 배고픈 아이가 밥을 굶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박수영 경제사회교육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