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기존 대형사업이 도심융합특구에 포함되면서 범위가 넓고 중첩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1차 마스터 플랜과 TF 전담팀을 통해 기초 설정 단계부터 명확한 로드맵을 구상하는 것이 최대 과제로 꼽힌다.
대전시는 우선 올해 하반기까지 기본 계획 수립에 들어간다.
이 단계는 대전만의 특색있는 도심융합특구의 테마를 설정하는 것으로, 향후 민간기업 이전을 위한 초석이라 할 수 있다. 또 기존에 추진 중이던 대전역 복합2구역 민자개발사업과 쪽방촌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공기관 이전 혁신도시 등의 밑그림이 퇴색되지 않도록 도시계획을 다시 그려야 하기 때문에 융합적인 행정력이 필요할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역세권의 메인은 복합환승센터인데, 기존 지상 1층, 지하 1층이었으나 20층까지 높일 계획이다. 혁신도시는 역세권 30만 평 가운데 4만 평으로 분류돼 있는데, 향후 혁신도시 시즌2 이전 상황을 고려해 더 넓게 규모를 확대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창업공간으로 분류하는 선화지구는 중부경찰서와 세무서가 통합청사로 이전하면 이 청사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중구청 또한 18층으로 리뉴얼하기 때문에 고층의 신청사에 입주가 가능해지고, 선화동 인근의 빈집과 청사를 활용하는 계획도 구상 중"이라고 했다.
다만 사업명이 복잡하고, 다수 중복되는 과제가 산발적으로 퍼져 있어 이를 하나로 묶고 재편성하는 작업도 중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통합적인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고, 사업의 기존 취지를 잃지 않도록 대전시와 지자체, 그리고 민관합동 차원의 TF팀 구성도 연내 마무리해야 한다.
시 관계자는 "전체적인 컨트롤 타워는 시다. 다만 사업을 세부적으로 봤을 때 TF팀이 주도하되, 부서별로 유기적인 협조가 이뤄져야 한다. 가능하다면 용역 단계부터 시가 예산을 더 투입할 수도 있고, 교수나 민간단체와도 적극 협의 할 것"이라고 했다.
정부의 과제도 있다. 국토부와 중기부는 올해 안으로 도심융합특구 법제화를 완성해야 한다. 법제화가 이뤄져야만 세제와 제정지원 그리고 향후 국비와 시비 분담률까지 확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와 정부의 로드맵을 예상대로만 추진한다면, 내년 이맘때쯤 용역 결과가 나오고 이후 도심융합특구의 첫 삽을 뜰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