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열한 고민을 통한 제대로 된 청사진을 그려내지 못한다면 이도 저도 아닌 이름뿐인 특구로 전락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대전 도심융합특구 조성 전략은 크게 '창업공간zone', '성장엔진zone', '혁신확산zone' 등으로 나뉜다. 현재 시의 도심융합특구 조성 전략은 기존 사업 등 가지고 있던 자료를 기반으로 한 구상일 뿐 앞으로 기업 유치를 위한 플랫폼을 만들기 위해선 어떤 '콘텐츠'를 채울 것인지가 중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기업을 끌어모을 '창업공간 Zone'에는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조성한 동구 대동 지식산업센터, 중구 대흥동 일대에 구축하고 있는 소셜벤쳐 특화거리 사업 등 기존 사업구상에 머무르고 있다. 해당 플랫폼 등에 벤처기업을 유치하겠다는 애초 목표와 달리 별다른 특색이 없어 기업 반응이 신통치 않은 실정이다.
이에 시는 이번 도심융합특구 지정에 맞춰 대전만이 가지고 있는 특성인 대덕연구개발특구와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 철도산업 복합클러스터, 지적재산권 특화산업·물산업 등을 결합한 차별화된 콘텐츠를 구상하겠다는 복안이다. 더불어 복합청사 리뉴얼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중구청과 특구연계협약을 통해 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환경 조성도 병행할 예정이다.
특히 원도심의 빈 점포와 상가 등 공실이 많은 만큼 저렴한 임대료에 청년기업이 많이 활동할 수 있다는 점도 감안한 활성화 방안도 검토한다.
시는 우선 정부로부터 3억 원 지원을 통한 용역에 주력할 방침이다. 빠르면 4월부터 1년간 기본계획용역을 진행하며 올 하반기 제정될 국토부의 융합특구 특별법에 따라 세부계획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도심융합특구는 사실상 중기부와 산자부, 국토부, 문체부 등 범정부적인 과제로 만들어지는 만큼, 시의 애초 취지와 목적과 달라질 수 있어 제약을 두지 않고 다양한 콘텐츠를 구상 중"이라며 "기본계획용역을 통해 대전이 지금까지 가지고 있는 콘텐츠보다 나은 콘텐츠를 발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성룡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