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공사가 세종시에 분산형 수돗물 공급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9일 세종시청에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왼쪽에서 첫번째 박재현 수자원공사 사장 모습. 사진=수자원공사 제공 |
한국수자원공사가 세종시에 분산형 수돗물 공급 시스템을 도입한다.
공사는 9일 시민이 먹는 물 신뢰회복과 음용률 향상을 위해 세종시, 한국물기술인증원과 함께 '분산형 물 공급 시스템' 시범사업을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분산형 물 공급은 정수장에서 생산한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수질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비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배수지 후단 또는 수질 민원 발생지역 등에 정밀여과장치를 설치하고, 소비자 측에 스마트 음수대를 도입한다.
스마트음수대는 실시간 수질 정보 제공, 동파방지 등 기능과 수돗물 안전성을 알리기 위해 동영상을 보여주는 공간을 조성해 '디지털 약수터'로서 도심 속 휴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협약 체결에 따라 수자원공사는 시스템 설치와 운영관리, 기술컨설팅을 지원하고, 세종시는 시스템 설치 대상지 선정과 인허가, 예산확보를 담당한다. 한국물기술인증원은 관련 기술 체계적 관리와 공신력 확보를 위해 물 안심 기술 관리제도 마련과 활성화에 나선다.
이번 협약으로 수자원공사와 세종시는 배수지 후단과 중점 수질관리 필요지역에 세종시 최초로 정밀여과장치를 설치하고 학교와 역사, 버스정류장 등에 스마트 음수대를 도입하고, 향후 적정 대상지를 선정해 시범사업을 시행하며 음용률 개선, 수돗물 인식변화 현황 등을 분석해 확대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기술인증원과 '물 안심 기술 관리제도' 성능평가 기준도 마련할 계획이다.
수돗물은 강이나 호수의 물을 우리가 사용할 수 있도록 깨끗하게 만든 물이다. 수돗물은 정수 처리장에서 만들어지게 된다. 수돗물은 6단계를 거쳐서 깨끗한 물로 만들어는데 먼저, 강물에서 물을 끌어올려 정수장으로 물을 보낸다. 이후 혼화지로 물을 보낸 후 응집제를 섞는다. 이는 여과가 쉽지 않은 작은 물질들을 뭉치게 하는 단계다. 응집제를 섞은 물을 응집지에 보내서 미세한 부유물을 큰 덩어리로 만들고, 침전지로 보내면 덩어리진 물질을 걸러낸다. 이후 다시 한 번 여과지에서 불순물을 걸러낸다. 마지막으로 살균과정과 염소 투입과정을 거치면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수돗물이 되는 것이다.
김소희 기자 shk329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