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는 정부가 시즌2 이전 시점을 확정해야만 원동력이 발생한다는 조건이 붙지만, 그동안 중기부와 혁신도시로 양분된 대전시의 행정력이 오롯이 혁신도시에 쏠릴 수 있게 된 만큼, 완성도 높은 전략을 가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대전시는 당위성과 유대감 형성을 앞세워 혁신도시 기반 다지기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혁신도시 확정 이후 대전역세권과 연축지구를 혁신도시 지정지구로 발표했고, 27개 기관 유치라는 목표 속에서 단계별·실국별로 세부과제도 설정했다. 중기부 이전을 매듭지어야만 혁신도시가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암묵적인 로드맵이 존재하는 만큼, 속도는 빠르지 않으나 대전만의 특색을 앞세워 반경을 넓혀왔다.
정세균 총리의 대전지역 기자 간담회가 8일 대전시청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사진=이성희 기자 |
혁신도시 기관 유치에 있어 대전시의 전략은 기본적으로 행정수도인 세종시가 옆에 있고, 수도권과도 가깝고 교통 또한 전국에서 편리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대다수 공공기관은 타 지역에 비해 대전을 선호하기는 하지만, 지역 안배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어 일방적인 세일즈는 불가능하다. 이에 대전시는 대전만의 지역 자원과 해당 기관이 대전으로 올 때 얻을 수 있는 시너지 효과 등 이전 논리를 구축하는 것에 중점을 두며 정부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대전역세권과 대덕구 연축지구에 어떤 기관을 유치할지도 관건이다. 총 27개 기관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혁신지구마다 특성이 다른 만큼 지자체가 구상하는 혁신도시 밑그림과도 궤를 같이 가야 하기 때문이다.
대덕구는 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대략적인 구상을 마쳤고, 입지가 넓은 동구도 철도 관련 기관 등 기본적인 그림을 그리고 있는 만큼, 대전시와 함께 혁신도시의 그림을 그려야 한다.
무엇보다 공격적인 유치 전략을 위해서는 정부의 신호탄이 필요하다.
대전시 관계자는 "이전 리스트에 오른 기관이라 할지라도 수도권의 생활기반을 버리고 지방으로 내려오는 것이기 때문에 마냥 낙관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시에서 직접 방문해도 왜 왔느냐는 부정적 반응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혁신도시 시즌2 시점을 명확하게 밝혀줘야 한다. 그래야 우리도 유치에 속도를 낼 수 있고, 해당 기관도 대전시의 입지 조건을 심사숙고할 수 있다"고 했다. 정부가 이전 시점을 확정하면 대전시는 동구, 대덕구와 함께 이전 기관 유치의 보폭을 넓혀 갈 수 있는 셈이다.
다만 일각에서는 중기부 이전 대안인 기상청+알파와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은 분명한 별개의 사안임을 정부로부터 확답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1월 허태정 시장은 "대전에 불이익은 없을 것"이라고 정 총리 발언을 전달했지만, 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이 나온 적 없는 만큼 변수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이유다.이에 정세균 총리는 8일 기자간담회에서 "혁신도시와 중기부 이전 대안은 분명히 별개"라고 답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